[시선뉴스 이호] 이번 시간에는 최초로 국가가 형성되기 시작한 청동기 시대에 대해 알아보자.

청동기 시대란 신석기 시대를 거쳐서 청동(구리합금)을 도구로 사용하기 시작한 시기로 기원전(B.C) 2000년에서 기원전(B.C) 1200년경 철기 시대 전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중국과 다르게 우리나라 청동기는 비파형 동검과 동물형 장식이 많이 출토되었고 아연합금을 사용했기 때문에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진 북방계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그리고 어떤 토기를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시대를 구분하기도 하는데 청동기에는 주로 민무늬 토기를 사용했다. 이 토기들은 지역에 따라서 이름과 모양, 용도가 다른 것들이 출토되어 그 지역의 이름을 따 부르고 있다. (미송리식, 송국리식, 가락동식 등)

청동기 시대는 시대의 명칭이 청동기 이기는 하지만 석기 시대를 미처 벗어나지는 못한 시기였다. 주인공격인 청동은 장식품이나 제기(제사 지내는 도구), 무기 등 특별한 일에만 사용하던 귀한 물건들을 만들 때 사용했고, 실생활에서 주로 사용하는 농기구등의 도구들은 돌을 갖고 만든 석기들이었다.

 

하지만 석기라고 해도 그 이전 시대처럼 투박하고 조잡한 석기가 아니었다. 청동기의 석기는 좀 더 세련되고 실용적으로 가공한 것으로 재질만 같은 돌일 뿐, 요즘의 농기구들과 많이 흡사한 모습을 보이며 차원을 달리하고 있었다.

이처럼 세련되게 가공된 기구들을 사용하다 보니 생산성도 높아지고 좀 더 수준 높은 농경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비교적 재배가 어려운 편인 벼 역시 이 시기에 본격적인 경작은 아니지만 처음 재배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돼지, 소, 말 등의 사육이 늘어났고, 반대로 구석기와 신석기의 주 식량 공급원이었던 사냥의 비중은 점차 줄어들게 되었다.

이렇듯 농경의 발달로 생산성이 증가하다 보니 매일 먹을 것 때문에 이동하고 근심 걱정을 했던 구석기, 신석기 때와는 다르게 생활이 굉장히 여유로워졌다. 특히 작황에 따라서는 먹고 남은 잉여 생산물까지 발생하기에 이르렀다.

이런 잉여 생산물은 비축이 되기 시작했고 비축된 생산물은 최초의 사유 재산이 되었다. 사유 재산이 발생했다는 뜻은 필연적으로 많이 가진 자와 적게 가진 자가 구분되기 시작한 것으로 빈부의 격차가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빈부의 격차는 자연스럽게 계급의 발생으로 이어졌으며 이는 부족 차원에서도 더 많은 부를 축적하기 위해 타 부족에 대한 정복 전쟁을 하는데 이르렀다.

먹을 것이 극단적으로 부족할 때는 하루하루 끼니를 연명하는 것에 만족을 하던 삶에서 여유가 생기게 되니 남의 것을 탐하게 된 것은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인 것 같다. 아무튼 이런 욕심들로 인해 다른 부족을 정복하게 되었고, 정복에 성공한 부족의 구성원은 계급이 높아지고 피 정복자들은 노예가 되는 등 더욱 계층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그리고 서로 다른 부족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점점 규모가 커지게 되었고 여러 부족이 모인 집합체는 결국 국가로의 발전으로 이어지게 됐다.

이처럼 지배층과 피 지배층이 갈려지다 보니, 지배층은 피지배층에 대한 과시와 후대까지 그 영향력을 지속시키기 위해 고인돌이라는 무덤을 만들었다. 고인돌은 청동기 시절의 무덤 형태중 하나로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는데 비단 무덤이라는 의미뿐만이 아니라 큰 돌을 경외시 했던 거석 숭배신앙 또한 적절히 이용했던 정치적인 조형물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고인돌이 우리나라와 중국의 동북지방, 일본의 큐슈 지방에서도 발견된 것으로 보아, 이 당시 지배층의 권력과 이를 지속시키기 위한 노력은 한 지역만의 특징이 아닌 청동기 시대의 전체적인 문화가 아닌가 싶다.

이렇듯 청동기 시대는 본격적으로 사유 재산과 계급사회가 발달하게 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지배층과 피 지배층이 생겼고, 이 것이 발전해 국가가 형성되게 된 시기이기도 하다. 사람의 탐욕으로부터 국가의 개념이 비롯됐다는 부분은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많은 것 같다.

지식교양 전문채널 – 시선뉴스
www.sisunnews.co.kr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