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박진아/디자인 최지민] 완벽한 존재인 것 같아 보이는 인간. 사실 알고보면 굉장히 불완전한 존재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심리효과 등을 알게 될 때 이런 점을 더 확실히 살펴볼 수 있는데요. 그래서 준비한 심리관련 용어! ‘틀짜기 효과’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틀짜기 효과란 행동경제학자 다니엘 카너먼(Daniel Kahneman)과 아모스 트버스키(Amos Tversky)가 1981년 발표한 공동논문 〈The Framing of Decisions and the Psychology of Choice〉에서 유래했습니다. 이는 의사 전달을 어떤 틀 안에서 하느냐에 따라 전달받은 사람의 태도나 행동이 달라지는 것/효과.

즉 동일한 사안이라고 해도 그에 관한 사람들의 해석이나 의사결정이 달라지는, 인식의 왜곡(cognitive bias) 현상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구조화 효과, 프레이밍 효과라고도 합니다.

배가 고픈 상태. 가방을 살펴보니 먹던 초코바 절반이 있다고 가정을 해 볼까요. 이때 어떤 사람은 ‘절반이나 남았다!’ 라고 할 수 있는 반면 ‘절반 밖에 남지 않았어!’라고 말 하는 사람이 있기도 하죠. 이런 부정적 사고와 긍정적 사고 중 어떤 생각,틀을 적용하는지의 효과에 대한 이론이라는 겁니다.

카너먼과 트버스키는 틀짜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두 그룹의 참가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에 응답하도록 했습니다.

“600명이 치명적 질병에 감염됐다고 전제할 때, 다음 두 가지 치료법 가운데 이들을 살릴 수 있는 것을 선택하시오.” 

1그룹. 치료법 A-200명이 살 수 있다. 치료법 B-환자 전체가 살 확률이 33%, 아무도 살지 못할 확률이 67%이다. 여러분은 어떤 선택을 하시겠습니까? 

실험 결과, 치료법 A를 선택한 사람이 72%, 치료법 B를 선택한 사람이 28%로 나타났습니다.즉, 긍정적인 생각을 심어 줄 경우, 사람들은 불확실한 이득(probabilistic gain)보다 확실한 이득(sure gain)을 선호한다는 겁니다. 

한편 2그룹의 보기는 달랐습니다. 치료법 C-400명이 죽는다. 치료법 D-아무도 죽지 않을 확률이 33%, 모두가 죽을 확률이67%이다. 실험 결과, 치료법 C를 선택한 사람이 22%, 치료법 D를 선택한 사람이 78%로 나타났습니다. 즉, 부정적인 생각을 심어 줄 경우, 확실한 손실보다 불확실한 손실을 선호한다는 겁니다.

생존의 가능성이 희박한 경우, 시도되지 않았던 최초의 수술이나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약물치료나 민간요법 등을 시도하는 행동. 이런 것들이 모두 틀짜기 효과에서 비롯된 심리로 선택하는 것들인 겁니다.

틀짜기 효과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어떻게 질문하느냐에 따라서 사람들의 심리가 결정되는지를 어느 정도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인식의 왜곡이 사람들의 심리가 얼마나 위험한건지도 알 수 있었는데요. 이런 심리가 악용되는 사례가 생겨서는 안 되겠죠?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