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이호] 소나 양 등 되새김질을 하는 가축이 뿜어내는 메탄가스는 인간 활동과 관련된 전체 메탄가스 배출량의 약 37%를 차지할 만큼 엄청난 양으로 온난화 현상의 주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호주의 과학자들이 유전자 조작을 통해 메탄가스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호주 애들레이드대학의 동물수의과학부 존 윌리엄스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소의 반추위에서 메탄가스를 생성하는 미생물의 양과 형태가 소의 유전자 구성에 의해 강력히 통제를 받는다는 연구 논문을 과학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최신호에 발표했다. 

이 결과는 반추위에서 메탄을 많이 배출하지 않는 소를 선별하여 사육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연합뉴스 제공
연합뉴스 제공

대표적인 반추동물(되새김 동물)인 소는 소화 과정과 배설물을 통해 연간 평균 70~120㎏의 메탄가스를 배출하는데 이를 세계적으로 사육되는 15억 마리가 내뿜는다고 생각하면 약 1억500만~1억8천만t에 달하는 양이다.

따라서 소에게서 나오는 메탄가스를 줄이기 위해 소의 사료에 해초를 섞거나 동물 세포를 배양해 인공 고기를 만들고 있는데 이는 큰 비용이 들기도 하면서 소비자들의 거부감을 느끼게 하는 부분이 있어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윌리엄스 교수팀은 이번 연구에서 젖소 1천 마리의 반추위에서 위액을 채취해 미생물을 분석하고, 각 소의 사료섭취량, 우유 생산량, 메탄 배출량 등도 함께 측정해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소가 섭취하는 사료를 바꿔 메탄가스 배출량을 줄일 수도 있지만, 유전자를 바꿔 메탄가스를 적게 배출하는 소를 선택해 키우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라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그러나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이런 소를 기를 것인지는 고기의 질이나 우유 생산량, 질병에 대한 내성 등 다른 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어떤 것에 우선순위를 둘 것인지에 달려있다고 말했다. 

과학적으로는 메탄가스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지만 가축업계가 사회적 공감대 속에서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해 선택해야 할 사안이라는 것이다. 연구팀은 또한 젖소 반추위의 미생물과 우유 생산의 효율성 사이에는 높지는 않지만, 상관관계가 있다고 밝혔다. 

윌리엄 교수는 보도자료를 통해 "아직 확실하지는 않지만, 메탄 배출량이 적을 때 우유 생산 효율도 높아진다는 등식이 성립된다면 윈윈 상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메탄을 배출하는 데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는 사실일 수 있다"고 말해 기대감을 높였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