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이호]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와 외신 등은 미국항공우주국(NASA) 기후변화 선임 과학자인 클레어 파킨슨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이 1979~2018년에 NASA와 미 군사 위성이 마이크로파로 측정한 남극해 해빙의 변화에 관한 연구결과를 PNAS 최신호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위성 측정이 시작된 1979년 이후 남극해 해빙은 줄곧 늘어 2014년까지 평균 1천280만㎢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불과 3년만인 2017년 1천75만㎢로 줄어들어 40년 사이 최저치로 급락하였다. 

줄어든 205만㎢는 멕시코에 버금가는 면적이다. 

2017년 1월 남극해 해빙(海氷) (AP=연합뉴스 제공)

2018년에도 남극대륙 주변의 해빙 면적이 전년도 보다 소폭 늘어나기는 했지만, 여전히 역대 두 번째로 낮았으며, 올해의 경우 5, 6월 얼음 면적이 가장 낮았던 2017년보다도 낮은 것으로 측정됐다. 

연구팀은 남극해에서 3년 사이에 매년 사라진 얼음 양은 지난 30년간 북극에서 관측된 것을 넘어서는 것이며 이런 흐름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지만 이런 해빙 감소가 일시적인 현상인지, 지구온난화에 따른 장기적 현상인지는 아직 밝혀내지 못해싿. 

콜로라도대학 얼음 과학자 왈리드 아브달라티 박사는 AP통신과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이처럼 큰 변화가 짧은 시간에 이뤄졌다는 사실은 지구가 급격하고 심각한 변화를 겪을 수 있다는 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경고했다. 

특히 남극 해빙은 북극이 지구온난화로 인해 얼음의 양이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추세에도 불과하고 오히려 2014년까지는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기에 이 현상은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지구 온난화가 기후변화를 가져온다는 주장에 반대하는 측이 반박증거로 내세웠지만 이제는 그러지도 못하게 되었다. 

오히려 북극과는 다르게 증가 또는 감소하는 현상으로 인해 오히려 현상에 대해 오히려 명확하게 설명을 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북극의 얼음과 남극의 얼음이 모두 줄어들면 해수면이 상승되며 각종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대륙의 북극과 바다의 남극의 얼음들이 모두 사라져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을 맞이하기 전에 전 세계는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대대적인 공조 시스템을 갖춰야 할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