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이호 / 디자인 최지민] 북한에서 간부들이 무엇인가 잘못을 하거나 사상적으로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숙청(처형)’을 당했다는 소문이 자주 들려오곤 한다. 하지만 해당 간부가 살아 있는 것이 확인될 경우 정치범 수용소에 구금을 당하거나 강제 노역 등의 혁명화교육 등을 당했다는 소식이 들려오곤 한다.

최근 북한의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역시 혁명화교육을 당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혁명화교육은 무엇이고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일까?

혁명화교육은 혁명화조치라고도 불리는 처벌의 종류 중 하나다. 북한 간부들이 당이나 나라에 잘못을 저질렀을 때 농장이나 공장, 탄광 등 생산 현장에서 강제 노역을 하거나 사상교육을 받게 된다.

지난 2월 말에 진행되었던 북미정상회담은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미국의 상응하는 조치를 담은 합의가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일었다. 경제적으로 세계에 고립되어 있던 북한으로서는 제재의 완화 등 매우 많은 부분을 기대했던 회담이었다.

하지만 실무차원에서 이미 합의가 되었어야 하는 문제들이 해결되지 못한 부분과 북한 측이 미국의 의중을 잘 못 파악한 부분들이 결합되어 결국 ‘NO DEAL’이라는 북한으로서는 매우 실망스럽고 허무한 결과가 발생해 버렸다.

이에 김정은 위원장은 크게 분노하였고 대미 관련 인사들이 줄줄이 숙청을 당하거나 혁명화조치를 받았다는 소문이 돌았다.

김영철 부위원장은 대미 협상을 총괄했던 인물로 당의 통일전선부장 자리에서 쫓겨나 한동안 모습이 보이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김 부위원장이 자강도에서 혁명화조치를 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김혁철 북한 국무위원회 대미 특별대표 등 여러 명의 인사들 역시 북미정상회담의 실패에 대한 책임을 물어 처형을 당했다는 소문이 들려왔었다.

그러나 김영철 부위원장은 이런 소문을 불식시키듯 지난 2일 김정은 위원장의 군인가족예술소조 공연 관람, 3일 대집단체조 '인민의 나라' 개막공연 관람에 연이어 동석하여 혁명화조치를 받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하노이 정상회담 이후 김 부위원장은 권력 대부분을 빼앗긴 상태이며 강제노역형에 처해진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사무실에서 '자아비판문'을 쓰는 처분을 받았다고 알려졌다.

북측이 김 부위원장의 모습을 공개한 것은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는 등 시위를 하는 모습을 보이고는 있지만 대미 협상을 총괄했던 김영철을 부위원장을 혁명화조치 시키지 않음으로써 김정은 위원장이 비핵화 협상을 깰 생각은 없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신호라고 전했다. 그만큼 북한의 간부로서 혁명화교육을 받는다는 것은 육체적, 정신적으로 큰 피해라고 할 수 있겠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