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6일 현충일 추념사에서 일본 강점기 조선의용대를 이끈 항일 무장독립투쟁가 약산 김원봉(1898∼1958)을 언급하며 "임시정부가 좌우합작을 이뤄 광복군을 창설했다", "광복 후 대한민국 국군창설의 뿌리가 됐다" 등의 평가를 했다.

여야는 7일 문재인 대통령이 현충일 추념사에서 약산 김원봉을 언급하며 '광복 후 국군 창설의 뿌리가 됐다'고 발언한 것을 두고 극명한 시각차를 드러내며 공방을 벌였다.

박차정 의열단원(왼쪽)과 의열단장 김원봉 결혼사진
박차정 의열단원(왼쪽)과 의열단장 김원봉 결혼사진 (연합뉴스 제공)

제1야당인 한국당은 문 대통령이 '자유 민주주의'의 정체성을 훼손하고 있다고 맹공을 퍼부었고 보수성향의 바른미래당 역시 호국영령에 대한 모독이라고 가세했다.

그러나 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진보성향의 정의당은 한국당이 문 대통령의 추념사에 담긴 의미를 제대로 보지 못하고 '색깔론'만을 꺼내 들고 있다며 반격을 가했다.

김원봉은 1919년 의열단을 조직해 국내 일제 수탈 기관 파괴와 요인암살 등 무정부주의 투쟁을 전개하다 1942년 광복군 부사령관에 취임했으며, 1944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무위원 및 군무부장도 지냈다.

그러나 1948년 월북한 이후 그해 8월 북한 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이 됐고, 같은 해 9월 국가검열상에 오르는 등 '사회주의 성향 독립운동가'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원봉은 이처럼 북한 정권에서 고위직을 지낸 경력 탓에 그동안 보훈처의 국가유공자 선정 대상에서도 제외됐다.

다만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이 이날 김원봉의 '공적'을 거론함에 따라, 독립유공자 지정 논란이 다시 부상할 수 있으리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