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시내버스 노사가 14일 임금 협상에 극적 타결을 이루면서 버스 파업 사태를 막을 수 있게 됐다. 올해 3월 임금 협상이 시작될 당시만 해도 노사 간 이견의 폭이 워낙 커 합의는 쉽지 않을 것으로 여겨졌다.

사측인 인천시 버스운송사업조합은 협상 초기 임금 인상률로 공무원 보수 인상 수준인 1.8%를 제시한 반면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인천지역노조는 주 52시간 시행에 따른 임금 감소분 보전을 주장하며 서울시 버스 기사 임금 수준에 맞추려면 23.8%의 임금 인상이 필요하다고 맞섰다.

인천 버스 (Wikimedia)
인천 버스 (Wikimedia)

3개월간 5차례의 노사회의가 열렸지만 '1.8% 대 23.8%' 임금 인상률 대결 구도는 '1.8% 대 17%' 수준으로 미세한 변화만 있었을 뿐이다. 협상에 진전이 없자 노조는 지난달 29일 인천지방노동위원회에 쟁의 조정을 신청, 지난 10일 1차 조정회의를 열었지만 역시 소득 없이 회의가 끝났다.

14일 오후 2시로 예정됐던 2차 조정회의까지 합의를 이루지 못할 경우엔 노조는 임금 협상 결렬을 선언하고 파업 찬반투표에 돌입할 태세였다. 인천 전체 시내버스의 78%에 이르는 1천861대의 버스의 운행이 전면 중단될 우려가 점점 커질 때 인천시가 '재정 지원 확대'라는 카드를 뽑아 들면서 적극적인 중재에 나섰다.

인천시는 노조 요구대로 단 한 번에 20%에 가까운 임금 인상을 실현하긴 어렵지만, 3년간으로 기간을 늘린다면 약 20%의 임금 인상률도 감당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시는 작년부터 준비한 준공영제 개선책과 버스경영 합리화 계획을 토대로 올해 8.1%, 내년 7.7%, 2021년 4.27% 등 3년에 걸쳐 현재 수준보다 20% 이상 인상하는 방안을 노조에 제시했다.

동시에 조합원 정년을 현재 61세에서 63세로 2년 연장하는 방안도 약속했다. 노조는 인천시 재정 여건을 고려할 때 애초 주장한 대로 단번에 20% 가까운 인상 요구가 수용되긴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보고 인천시의 중재를 전격 수용했다.

노사 합의에 따라 버스 파업 사태는 막게 됐지만 버스 준공영제를 운용하기 위한 인천시의 재정 부담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게 됐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