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7월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을 앞두고 전국의 노선버스 노사가 큰 충돌을 예고하고 있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산하 전국자동차노동조합총연맹(자동차노련)이 그간 벌여온 노사협상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함에 따라지난 29일 사업장별 쟁의조정 신청이란 강수를 꺼내 들었기 때문이다.

버스파업 예고 이유는? [연합뉴스 제공]
버스파업 예고 이유는? [연합뉴스 제공]

쟁의조정을 신청한 전국 버스회사 노조 측은 다음 달 8일 찬반투표를 거쳐 15일 전면파업에 돌입할 계획이어서 전국적으로 교통대란이 우려된다. 쟁의조정 신청에 참여하는 사업장은 전국 479곳 가운데 234곳이다. 인원은 4만1천280명, 차량은 2만138대여서 파업이 현실화할 경우 교통대란으로 인한 시민불편이 우려된다.

서울과 경기, 부산, 인천, 광주 등지에서 이날 최종 노사 협상이 있었지만, 근무형태와 임금 보전문제 등의 이견으로 결렬됐다.

노조 측의 주장

주 52시간 근무제가 적용되면 근무시간이 줄어들게 되고, 그만큼 추가로 인력을 채용하지 않으면 버스 운행에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다는 게 노조 측의 주장이다. 노조는 추가 인력 채용과 노동시간 단축에 따른 임금 감소 대책을 요구했다.

사측의 주장

반면 사용자 측은 노조의 주장대로 기사를 대량 충원할 경우 인건비 부담에 감당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버스 노사는 지역별로 적게는 5차례, 많게는 10차례 정도 협상 테이블에 앉았지만, 견해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주 52시간 근무제를 시행하려면 근무형태부터 정해야 하는데 노사 입장차이가 워낙 커서 협상에 진전이 거의 없었다.

노사 입장차이가 워낙 큰 데다 버스 준공영제를 시행하는 지자체에서는 버스 기사 충원이 재정 부담으로 이어져 뾰족한 수가 없는 상황이다.

한 버스업계 관계자는 "쟁의조정 기간에 지자체가 노사 협상을 중재한다 해도 큰 진전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가 직접 나서지 않는 한 시내버스 운행횟수·노선 감축이 불가피해 시민불편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