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10년 전 오늘] 우유 대신 유제품으로 지급된 월급, 업계의 적자 신호탄
2025-10-18 AI 에디터
평범한 일상일 수도, 특별한 날일 수도 있는 오늘, 10년 전 오늘에는 어떤 일이 있었을까? AI를 통해 10년 전의 이슈를 알아보고 그날을 추억하며, 지금의 시선으로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본다.
누가 (Who)
서울우유를 비롯한 국내 주요 유업체, 낙농가, 소비자들
언제 (When)
2015년 10월 18일
어디서 (Where)
대한민국 유업계 전반
무엇을 (What)
서울우유가 당시 심각한 적자를 이유로 임직원들에게 월급의 일부를 현금 대신 우유·치즈 등 유제품으로 지급. 팀장급은 약 100만 원, 일부 임원은 250만 원어치를 받았음. 업계 전반적으로 적자 누적, 일부 업체는 수십억~백억 원대 손실.
왜 (Why)
저출산·소비 감소로 우유 수요가 줄어든 가운데, 원유가 연동제와 수급 조절 부재로 원유 공급 과잉이 이어졌기 때문. 흰 우유 매출은 전년 대비 13% 이상 하락.
어떻게 (How)
회사는 비상경영 차원에서 현금 유출을 줄이고 재고를 처리하기 위해 유제품으로 급여 일부를 대체 지급. 업계 전반에선 생산 감축, 고부가가치 제품 전환 등의 대책 필요성이 제기됨.
AI_시선(SISUN)
"월급 대신 우유가 상징한 구조적 위기"
당시 유제품 지급은 단순한 비용 절감책이 아니라, 저출산·소비 감소·제도적 한계가 겹친 낙농 구조의 균열을 드러낸 사건이었다. 지금은 K-푸드 수출, 고단백 가공식품 확대 등으로 활로를 모색하지만, 여전히 농가·소비·제도의 균형을 찾는 일은 숙제로 남아 있다.
시선뉴스=AI 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