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둘째 주 육아 관련 정책 [육아 정책브리핑]

2025-09-09     심재민 기자

시선뉴스=심재민 기자 | “아이 키우기 어려우시죠?” 육아에 도움 되는 지원부터 건강관리까지. 대한민국 정부의 다양한 정책 중 육아에 도움 되는 정책을 보기 쉽게 모았습니다. <2025년 09월 둘째 주 육아 정책 브리핑>

-사회-
● 보건복지부
- 2024년 실종신고 49,624명, 이 중 121명은 아직 찾는 중

개정 '실종아동등의 보호와 지원에 관한 법률'(‘25.1.1 시행)에 따라 '2024년 실종아동등 연차보고서'를 발간하여 국회에 제출했다. '실종아동법'에 따른 실종아동등에는 실종당시 18세미만 아동, 전 연령의 지적·자폐성·정신장애인(이하 장애인), 전 연령의 치매환자가 포함된다.

- 주요내용
★ 2024년 실종신고는 총 49,624건이고, 이중 아동은 25,692명, 장애인은 8,430명, 치매환자는 15,502명이다.

★ 2024년에 접수된 49,624건 중 2024년에 발생한 건은 48,872건으로, 이중 48,751명을 찾았고, 121명은 아직 찾지 못했다. 미발견자 중 아동은 64명, 장애인은 41명, 치매환자는 16명이다. 미발견율(실종자 중 미발견자 비율)은 0.25%로 대상별로는 각각 아동 0.25%, 장애인 0.49%, 치매환자 0.1%로 확인됐다.

★ 2024년 발견건을 기준으로 신고부터 발견까지의 소요시간은 ‘1시간 이내’ 43%, ‘1일 이내’ 89%, ‘2일 이내’ 95%이며, 최근 3년간 ‘1시간 이내’및 ‘1일 이내’ 발견이 꾸준히 증가했다.

★ 실종아동 발생 예방 및 찾기를 위해 무연고 아동 신상카드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무연고 아동과 아동을 찾는 가족의 유전자 정보 DB 구축, 배회감지기 보급(SK하이닉스 협업), 치매환자 인식표 지원, 실종예방 사전등록(지문·얼굴 등 정보를 미리 등록) 제도 등을 운영하고 있다.

더욱 자세한 내용은 각 부처의 홈페이지 또는 문의처에 유선 연락으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