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들의 지원사업 길라잡이 ‘농업e지’...쉽게 찾고 간편하게 신청하고 [지식용어]

2025-02-14     심재민 기자

시선뉴스=심재민 기자 | 정부의 다양한 농업 관련 지원사업. 하지만 많은 농업인들은 어떤 지원사업이 있는지, 또는 어떻게 신청해야 하는지 등 접근이 용이하지 않아 유용한 지원사업들을 놓치고 있다. 이에 지난해 12월 농림축산식품부는 개인 맞춤형 대농민 서비스를 제공하는 ‘농업e지’ 시스템을 출범했다.

‘농업e지’는 정부의 다양한 지원사업을 농민들이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든 플랫폼으로, 자신의 농업경영체 정보를 기반으로 정부의 농업 관련 지원사업을 자동으로 추천받을 수 있는 서비스다. 이름의 ‘e지’에서 알 수 있듯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쉽게 지원사업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표다. 

‘농업e지’의 가장 큰 특징은 농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종전에 농민들이 지원사업 정보를 확인하려면 관공서를 찾아가 설명을 듣거나 온라인에서 복잡한 사업지침서를 내려받아 직접 사업 내용을 확인해야 했다. 하지만 ‘농업e지’에선 기존에 등록한 농업경영체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지원사업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랫폼에는 성별과 연령 등 농업경영체 정보와 지원 자격 등을 식별해 신청 대상에 적합한 농식품사업을 추천해주는 기능을 탑재했다.

아울러 ‘농업e지’를 통해 운영자인 공무원 역시 사업 신청 서류를 입력하거나 확인하는 절차가 간소화 될 것으로 기대되고, 특히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 사전·현장을 항공이나 위성 영상으로 검증할 수 있어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전망이다. 

과거에도 ‘농업e지’와 유사한 서비스는 있었다. 지난 2005년 농식품부가 구축한 농림사업정보시스템(아그릭스·Agrix)이 그것이다. 그러나 공무원 중심으로 설계돼 대농민 기능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았고, 이에 2022년부터 공공서비스의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자 새로운 플랫폼 개발에 착수해, 2023년 관련 예산 1,226억원을 확보, 지난해 ‘농업e지’ 시스템을 구축해 12월2일 공식 출범시켰다.  

이러한 ‘농업e지’ 플랫폼에는 농업보조금 사업 등 300여 개에 달하는 농식품부의 지원사업이 모두 등재된다. 서비스 이용을 위한 로그인 방법도 어렵지 않다. 농업경영체로 등록한 농민과 농업법인은 휴대전화인증 또는 간편인증을 통해 간단히 로그인할 수 있다. 농업경영체 등록을 하지 않은 농민이라도 간단한 키워드 검색만으로 필요한 사업을 조회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기기 사용이 어려운 정보취약계층도 모바일을 통해 간편하게 접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업인 간 사용법을 알려주는 '농업e지쌤' 기능도 제공된다. 

현재 ‘농업e지’에선 기존 등록한 농업경영체 정보를 확인만 할 수 있지만 올 7월부턴 농업경영체 정보 등록·변경도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기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등을 방문해 처리해야 했던 번거로운 절차가 생략돼 농민들이 영농활동에 전념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내년 1월부터는 ‘농업e지’를 통해 직불금 등 농업 지원사업의 신청도 가능해지며, 7월에는 작물 수급 예측 등 농업 관련 정책의 의사 결정시스템도 구축할 예정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업e지 시스템은 단순한 농식품사업 정보를 안내하는 것이 아닌 농식품사업 업무를 통합·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을 갖출 수 있도록 구축하고 있다”면서 “농업경영체 관리와 보조금 지원, 이행 점검, 정책 수립까지 농업과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구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농업인이 직접 농업경영체 등록 정보를 조회하거나 보조금 등 맞춤형 정보를 받는 등 편의성을 높인 ‘농업e지’ 서비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운영을 시작한 '농업e지'는 오는 2026년까지 3단계에 걸쳐 구축 작업을 추진 중이다. ‘농업e지’를 통해 앞으로는 농민들이 언제 어디서나 비대면으로 맞춤형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기를 바라며, 정부는 시스템이 정착될 수 있도록 홍보와 유지 관리도 함께 이어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