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이미지에 치명적인 맞춤법 틀리기...바른 표기법은?
시선뉴스=정혜인 기자 / 디자인=김선희 proㅣ헷갈리기 쉬운 맞춤법으로는 ‘로서’와 ‘로써’, ‘됐다’와 ‘되었다’가 대표적이다. 사소한 실수는 이해받기 쉽지만, 큰 실수는 이미지에 있어 치명적일 수 있다. 애인이 맞춤법을 너무 많이 틀려 이별을 고민하는 사례도 생각보다 많다. ‘정 떨어지는 맞춤법 틀리기’에 어떤 것들이 있을지 함께 알아보겠다.
앞서 말한 ‘로서’는 지위나 신분을 나타낼 때, ‘로써’는 수단이나 도구를 나타낼 때 쓰인다. ‘선생님으로서 가르쳤다’와 ‘평가함으로써 결과를 만들었다’ 이 같은 식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헷갈린다면 주로 생물 뒤에 ‘로서’, 무생물 뒤에 ‘로써’를 쓴다는 걸 기억해 두자.
‘돼’는 ‘되어’를 줄인 형태이고, ‘되’는 어미가 필요하다. ‘하’를 넣었을 때 말이 된다면 ‘되’가, ‘해’를 넣어야 말이 되면 ‘돼’를 써야 한다. 같은 의미더라도 ‘하면 된다’와 ‘하면 돼’로 쓰는 게 맞다. 이와 비슷한 것으로는 ‘봬요’가 있다. ‘봬’는 ‘뵈어요’의 준말이어서 ‘뵈요’는 틀린 표현이다.
또 많은 이들이 잘못 쓰는 걸로는 ‘든지’와 ‘던지’가 있다. 선택의 의미일 땐 ‘든지’를, 과거를 회상할 때는 ‘던지’를 사용한다. ‘그날의 바람이 어찌나 선선하던지’, ‘하든지 말든지’라고 해야 맞다.
문제를 부르는 건 바로 ‘ㅎ’이다. 한 끗 차이로 굉장히 이상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어떻게’와 ‘어떡해’, 발음은 비슷하나 쓰임새는 전혀 다르다. ‘어떻게’는 ‘어떠하다’의 준말, ‘어떡해’는 ’어떻게 해‘가 줄어든 말이다. ’어떻게‘는 부사고, ’어떡해‘는 그 자체가 완결된 어구다. 따라서 ’어떻게 나한테 그래‘와 ’나 어떡해‘ 이렇게 써야 하며, ’어떻해‘는 없는 말이다.
’ㅎ’은 적절한 위치에 들어가야 한다. 일단 맞는 표현을 쭉 나열하자면, ‘따뜻이’, ‘틈틈이’, ‘일일이’, ‘꼼꼼히’가 제대로 쓴 것이고, 상태를 나타내는 말 중에서는 ‘희한하다’와 ‘상처 빨리 낫자(나아지자)’고 표기해야 한다. 특히나 ‘희안하다’와 ‘상처 빨리 낳아’ 등은 상대방을 다소 놀라게 만들 수도 있다.
‘ㅔ’의 쓰임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금새’, 햇갈리다‘, ’왠만하면‘, ’냄세‘는 모두 올바른 표현이 아니다. ’금시에‘가 줄어든 말은 ’금새‘가 아닌 ’금세‘이고, ’헷갈리다‘와 ’웬만하면‘, ’냄새‘가 맞는 표현이다. ’왠‘과 ’웬‘은 둘 다 쓰이나, 다르게 사용된다. ’왠지‘는 ’왜인지‘를 의미하는 부사이고, ’웬‘은 ’어떠한‘이라는 뜻을 가진 관형사다. 따라서 ’웬‘ 뒤에는 명사가 오게 된다.
일상에서 아주 자주 쓰는 말, ’며칠‘. 이때 ’몇일‘은 발음상 맞으나, 표기로는 틀렸다. 이는 ’어원이 분명하지 않은 말은 원형들을 적지 않는다‘는 규정이 있기 때문이다. 무언가 이루어지길 ’바랄‘ 때도 ’바래‘라고 많이 쓰지만, ’바라‘가 맞다. ’바래다‘는 어떤 것의 색이 빛 등에 의해 변했을 때 쓰는 표현이다.
아주 드물게 ’왜숭모‘(바른 표현: 외숙모), ’어의없네‘(어이없네), ’달닦하지마‘(닦달하지마), ’괘심치래‘(게슴츠레) 식으로 틀리는 사람들도 있다. 사실 꾸준히 독서해 익힌 게 아니라면 언제든 맞춤법을 틀릴 수 있다. 다만 부끄러운 일을 만들지 않도록 ’헷갈릴‘ 땐 한 번 찾아보고 쓰는 게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