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비레시피] 정유미X이선균의 디테일함이 살아있는 영화 ‘잠’
시선뉴스=박진아 기자ㅣ가족과 함께 할 때, 혼자서 울고 싶을 때, 사랑하는 연인과 로맨스를 한껏 더 즐기고 싶을 때, 당신은 어떤 영화를 선택하나요? 많은 영화들 속에서 결정을 내리기 어려운 당신에게 무비레시피가 영화를 추천, 요리합니다.
수면보행증(몽유병)은 비렘(NREM) 수면 각성장애 중 하나로, 수면 중에 보행을 비롯하여 복잡한 신체활동을 하며, 때때로 알아들을 수 없거나 의미 없는 말을 하기도 한다. 사실상 큰 치료가 필요하지 않고 수면을 잘 취하거나 안전한 환경을 만들면 되지만, 밤 사이에 일어나는 이런 행동은 타인에게 무서움과 공포감을 주기도 한다. 그리고 몽유병이라는 이 소재로, 우리는 다양한 이야기들을 만들어낸다. 잠을 자면서 일어나는 이야기에서 시작한 영화, <잠>을 살펴본다.
<영화정보>
잠(Sleep)
미스터리 // 2023.09.06. // 대한민국
감독 – 유재선
배우 – 정유미, 이선균
<잠만 자면 일어나는 일, 이유를 찾라>
행복한 신혼부부 ‘현수’(이선균)와 ‘수진’(정유미). 어느 날, 옆에 잠든 남편 ‘현수’가 이상한 말을 중얼거린다. “누가 들어왔어” 그날 이후, 잠들면 마치 다른 사람처럼 변하는 ‘현수’.
깨어나면 아무것도 기억하지 못하는 ‘현수’는 잠들면 가족들을 해칠까 두려움을 느끼고 ‘수진’은 매일 잠드는 순간 시작되는 끔찍한 공포 때문에 잠들지 못한다. 치료도 받아보지만 ‘현수’의 수면 중 이상 행동은 점점 더 위험해져가고 ‘수진’은 곧 태어날 아이까지 위험에 빠질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갖은 노력을 다한다.
하지만 좋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 현수. 급기야 함께 지내던 강아지 ‘후추’의 끔찍한 사건이 벌어지게 되고 수진은 현수의 행동이 단순한 몽유병 정도가 아님을 짐작하게 된다. 그리고 수진의 엄마와 수진은 미신의 힘을 빌려보는데... 수진은 아이를 지키고 현수를 원래대로 돌려놓을 수 있을까.
<하고 싶은 이야기>
- 무서운 장면이 없는 무서운 영화
영화 잠은 공포 스릴러 영화다. 더 정확히 서스펜스 스릴러에 가깝다. 그런데 영화는 처음부터 끝까지 귀신이 소위 갑툭튀(갑자기 툭 튀어나오는) 하는 같은 장면이나 비주얼 적으로 무서운 장면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는 처음부터 끝까지 가슴 졸깃한 긴장감을 유지하게 만든다. 밤이 되어 수진과 현수가 잠이 드는 씬이 나오면 관객 역시 공포를 조금씩 느끼게 될지도 모른다. 한정된 공간과, 한정된 배우들이 만들어가는 94븐. 영화의 디테일함과 숨막히는 전쟁을 하게 될 것이다.
- 이선균 배우
이유야 어찌 되었든, 배우 이선균이 많은 대중들에게 안타까움을 남긴 것은 사실이다. 안정적인 연기로 넓은 스펙트럼을 가진 이선균 배우는 영화 <잠>에서도 그 모습을 여과 없이 발휘했다. 소소하면서 디테일함이 중요한 장면들, 배우 정유미와의 케미도 오랫동안 기억에 남는다. 그의 유작 두편이 더 궁금해지는 이유다.
영화 <잠>의 손익분기점을 돌파해 2023년 손익분기점을 넘긴 한국영화 중 하나다. 영화는 ‘열린결말’처럼 보이는 탓으로 영화가 끝난 뒤에도 많은 관객들은 이야기에 이야기를 하면 궁금해하고 고민한다. 그리고 그런 고민은 관객을 불러모았고, 궁금증을 자아냈다. 물론 디테일한 연출과 배우들의 열연이 없었다면 불가능했겠지만 말이다. 여전히 저조한 극장가의 한국영화들. 다양한 장르의 영화가 그립다면, 영화 <잠>은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