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이호] 우리나라는 건조한 겨울 기후 때문에 산불이 자주 발생한다. 때문에 이로 인해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을 공간상으로 분석한 지도가 필요한 상황. 이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전국산불취약지도’를 제작했다. 

‘전국산불취약지도’는 전국 지자체별로 산불의 발생, 확산, 피해 위험이 높은 지역을 선별한 산불 취약지도이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하 산림과학원)은 1991년부터 2017년까지 27년간 발생한 1만1천643건의 산불 데이터를 지리정보시스템(GIS)으로 종합 분석해 위 해당 지도를 작성했다.

강릉시 산불 취약지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 연합뉴스)
강릉시 산불 취약지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 연합뉴스)

산불취약지역의 근거가 되는 산불 취약위험지수는 산불 발생밀도, 침엽수림과의 거리, 인구밀도, 건물밀도, 재해 약자시설 분포, 국가 보호시설 분포 등을 활용해 A, B, C, D의 4단계로 산출했는데 A등급은 상위 0∼10%, B등급은 상위 10∼30%, C등급은 상위 30∼60%, D등급은 상위 60∼100%로 분류되며 A등급에 가까울수록 위험도가 높다. 

이 지도를 활용하면 산불감시원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산불 조심 기간 입산통제구역과 등산로 폐쇄구역을 선정하는 데 활용될 수 있으며 진화 차량이나 헬기를 산불취약지역에 전진 배치해 이른 시간 안에 진화해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예측·분석센터 관계자는 "최근 산림휴양 수요와 귀농인 증가로 산림인접지의 산불피해 위험이 계속 커진다. 산불 취약지도를 활용하면, 내가 사는 지역이 얼마나 산불에 취약한지 알 수 있어 산불 예방 활동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7년이라는 오랜 시간의 통계가 고스란히 담겨 있는 전국산불취약지도를 활용해 화재로 인한 인명과 재산 피해가 근절되기를 기대해 본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