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홍지수 / 구성 : 심재민 선임기자, 조재휘 기자] 시청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우리 사회의 뜨거운 이슈를 다각적으로 살펴보는 이슈체크입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 2차 핵 담판이 두 주인공의 하노이 도착과 함께 카운트다운에 들어갔습니다.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2차 북미 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26일 개최지인 베트남 하노이에 도착했는데요. 오늘 이슈체크에서는 양 정상의 하노이 도착 과정과 북미정상 회담의 주변국들의 반응을 살펴보겠습니다.

[연합뉴스 제공]
[연합뉴스 제공]

먼저 첫 번째 이슈체크에서 양 정상의 하노이 도착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하노이에 먼저 도착한 쪽은 김정은 위원장입니다. 그는 지난 23일 오후 4시 30분께 평양역을 출발해 중국 대륙을 종단하며 65시간여 동안 3천800㎞를 기차를 타고 달려 26일 현지 시간 오전 8시 10분께 베트남의 중국 접경지인 랑선성 동당역에 도착했습니다.

북한 최고 지도자의 베트남 방문은 김 위원장 조부인 김일성 주석의 1964년 방문 이후 55년 만인데요. 다소 지친 기색으로 열차에서 내린 김 위원장은 동당역 앞에서 대기 중이던 전용차로 바꿔 타고 하노이로 이동했고 오전 11시께 멜리아호텔에 여장(旅裝)을 풀었습니다. 도착 후 김정은 위원장은 오후에 50분간 베트남주재 북한대사관을 방문한 것 외에는 외부로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는데, 긴 여행에 따라 주로 휴식을 취하면서 트럼프 대통령과의 만남을 준비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연합뉴스 제공]
[연합뉴스 제공]

김 위원장에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26일 밤 현지시간 8시 54분 전용기편으로 하노이 노이바이 국제공항에 도착한 뒤 곧바로 숙소인 하노이 JW메리어트호텔로 향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공군기지에서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원을 타고 출발해 지구 반바퀴를 도는 20시간 20분의 비행 끝에 하노이 공항에 도착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서양을 횡단하는 경로를 택했으며, 중간 급유를 위해 영국 런던 북동쪽 밀든 홀 공군기지와 카타르 도하를 각각 들렀습니다.

두 정상의 만남은 역사상 첫 북미 정상의 대좌로 세기의 담판으로 불렸던 지난해 6·12 북미정상회담 이후 8개월여 만입니다. 과거 미국과의 적대국에서 동반자 관계로 탈바꿈해 경제적 번영을 이룬 베트남을 무대로 '싱가포르 공동성명'의 실행 로드맵을 담을 '북한 비핵화 및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위한 담판에 나서는 것이어서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두 번째 이슈체크에서는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주변국들의 반응을 살펴보겠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차 북미 정상회담에 대해 중국 매체들도 촉각을 세우며 주목하고 있습니다. 중국 관영 CCTV는 27일 아침 뉴스에서 전날 김 위원장의 베트남 하노이 도착과 북한 대사관 방문을 전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밤 전용기에서 내리는 장면도 방송했습니다.

홍콩 봉황TV는 회담장인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하노이 호텔 앞과 베트남 주석궁 앞 등 여러 현장을 생방송으로 연결해 회담 일정 등을 상세히 전했고 관영 차이나데일리는 이날 2차 정상회담이 한반도 미래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내용의 기고문을 싣기도 했습니다.  

[연합뉴스 제공]
[연합뉴스 제공]

일본 역시 이번 북미정상회담을 예의 주시하고 있습니다.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은 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와 관련해 "오늘(27일)부터 시작되는 북미 정상 회담이 북한의 납치, 핵/미사일 문제 해결로 이어져 동아시아 평화와 안정으로 연결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스가 장관은 이날 오전 정례 기자회견에서 "중요한 것은 북미 프로세스가 착실히 실행되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연합뉴스 제공]
[연합뉴스 제공]

이번 정상회담에서 두 정상이 1박 2일에 걸쳐 5차례 이상 직접 만날 것으로 예상되는 등 함께하는 일정이 많아 정상 간 담판 과정에서 논의에 상당한 진척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번 회담에서 북한의 비핵화 실행조치와 미국의 상응 조치를 주고받는 '빅딜'이 성사될 수 있을지 기대가 모아집니다. 이상 이슈체크 조재휘였습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