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이호/디자인 이정선] 박정희 정권의 영구적인 독재체제에 반기를 든 사람들이 1975년 3월 1일 집결하였다. 종교계, 야당, 학계, 문인, 재야, 언론계, 법조계, 여성계 등 각계대표 71명이 모여 민주회복선언대회를 열고 민주회복국민회의를 발족시켰다. 민주회복국민회의는 56주년을 맞은 3.1절에 ‘국민에게 보내는 메시지’와 ‘민주국민헌장’을 발표하여 민주회복운동의 지침을 제시하고 각 지방에서 지부 결성에 들어갔다.

그러나 이를 그냥 두고 볼 박정희 정부가 아니었다. 정부는 즉각 긴급조치 9호를 발동하여 민주회복국민회의를 억압하고 전면 봉쇄했다. 

1975년 4월 9일 대구, 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해온 혁신계인사들이 인민혁명당(이하 인혁당)을 재건하고 고 민청학련 활동을 조종했다는 명목으로 1,024명을 체포하고 253명을 구속하였으며 국가보안법, 긴급조치 위반 등에 따라 180명을 기소했다. 대법원은 도예종을 비롯한 재건 인혁당 관련 인사들에게 사형을 선고하였으며 선고 후 18시간 만에 사형을 집행했다. 이를 2차 인혁당 사건이라 한다.

1975년 3월 15일 시인 고은이 간사로 있었던 자유실천문인협의회(1974.11.18)는 동아일보사, 조선일보사의 기자 해임  사태와 기협회보에 대한 폐간 조치, 시인 김지하의 재구속에 항의하는‘최근의 사태에 대한 문학인 165인 선언’을 발표했다.

1975년 4월 베트남 공산화에 자극된 박정희 대통령은 ‘학도호국단’을 조직하고, ‘민방위대’를 창설하는 등 군사통치를 더욱 강화하였다. 이런 화중에 1975년 8월 개헌청원운동을 벌이던 장준하가 북한산 등산 도중 의문의 죽음을 당했다. 

이렇듯 정권의 폭압이 날로 강해지자 국내외의 항의가 빗발치기 시작했고 1975년 2윌 17일 당국은 어쩔 수 없이 긴급조치를 해제하고 지학순 주교를 비롯한 일부 양심수들을 석방했다. 1976년 3월 1일에는 20여 명의 사제가 공동 집전하는 3.1절 기념미사가 명동성당에서 개최되었다. 미사 후 7명의 천주교 신부와 문익환, 김대중 등 개신교 성직자와 재야인사들이 서명한 ‘민주구국선언’이 낭독되었다. 

그리고 1977년 윤보선, 지학순 등이 민주구국헌장 발표와 서명운동을 전개했다(1977년 3월 23일).또한 4월 18일에는 천주교 77선언 발표가 있었고 4월 20일에는 광주무당촌사건이 발생했다. 그리고 10월에는 평화시장, 동화상점가 상인들의 징세거부 폐점이 일어났고 12월에는 해직교수협의회 발족과 민주교육선언이 발표되면서 박정희 정권에 대한 민주화 운동은 날로 증폭 되어 갔다. 

※본 기사는 청소년들에게는 올바른 역사의식을 고취시키고 시선뉴스를 구독하는 구독자들에게 한국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제작되는 기획기사입니다. 본 기사는 사실적인 정보만 제공하며 주관적이거나 아직 사실로 판명되지 않은 사건의 정보 등에 대해서는 작성하지 않는 것(혹은 해당 사실을 정확히 명시)을 원칙으로 합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