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이호/디자인 이정선] 1958년 12월 24일 이승만 정권은 무장경관 300명을 국회의사당 내에 출동시켜 야당들을 쫓아내고 신국가보안법과 지방자치법을 일괄 상정하여 통과시켜 버렸다(2·4 정치파동). 이 행위의 명분은 국제정세의 변화와 북괴의 위장평화 공세에 능동적인 대처를 위함이라 하였으나 실제로는 정부 여당에 대한 비판과 언론통제가 골자였다. 

그리고 1960년 3월 10일 민주당의 후보였던 조병옥이 선거 10일을 앞두고 지방에서 급사하여 이승만은 무투표로 대통령에 당선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유당과 이를 추종하는 세력들은 40%의 사전투표를 하는 등 공무원과 관변 단체를 동원하여 온갖 부정을 자행했으며 3월 15일 3인 또는 9인이 조를 짜 투표를 하면서 조장에 기명한 것을 공개하고 투표하는 ‘공개투표’라는 희대의 부정투표를 자행해 개표과정에서 부통령인 이기붕의 표가 100%에 육박하는 결과가 나왔다. 

민주주의를 표방하는 국가에서 이런 말도 안 되는 결과는 역공의 빌미를 줄 수 있으므로 결국 이를 70~75%선으로 조정하라는 지시가 떨어졌고 전국 각 지에서는 다시 득표수를 내리는 감표 작업을 하는 희극을 연출하기도 하였다.

이승만 정권의 실정과 미국의 경제 원조 감소로 인해 경제가 어려워져 노농 운동과 학생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던 상황에서 이런 부정선거는 도화선에 불을 붙인 꼴이 되었다. 부정선거를 항의하는 국민시위가 대구, 부산, 서울, 마산 등 전국의 대도시에서 벌어졌는데, 마산에서 시위 도중 최루탄을 맞고 숨진 김주열군의 시체가 바다에서 발견되자 국민의 분노는 절정에 달했다. 

4월 18일 고려대학교 학생들의 시위에 이어 4월 19일에는 서울의 주요 대학과 고등학생까지 시위에 참가하고 시민들이 합세하여 광화문 거리가 시위 군중으로 가득 찼다. 분노한 시민들 중의 일부는 대통령 관저인 경무대를 향하여 돌진하다가 경찰의 총격으로 인해 100여 명이 목숨을 잃기도 하였다. 

이런 유혈사태로 인해 국민정서는 크게 악화되었고 4월 25일에는 서울시내 대학교수단이 ‘학생들의 피에 보답하라’며 시위를 일으켰다. 그러자 사태의 심각성을 깨달은 미국측도 이승만에게 퇴진을 권유했고 이승만은 4월 26일 “국민이 원한다면 대통령직에서 물러나겠다.”는 성명서를 내고 하야했다. 

독재를 위해 민생은 뒤로하고 부정선거 등 무리한 정권유지에만 몰두했던 이승만 정권은 결국 국민들에 의해 12년만에 무너지고 말았다. 이로써 외무부 장관 허정을 수반으로 하는 과도정부가 수립되었다. 

※본 기사는 청소년들에게는 올바른 역사의식을 고취시키고 시선뉴스를 구독하는 구독자들에게 한국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제작되는 기획기사입니다. 본 기사는 사실적인 정보만 제공하며 주관적이거나 아직 사실로 판명되지 않은 사건의 정보 등에 대해서는 작성하지 않는 것(혹은 해당 사실을 정확히 명시)을 원칙으로 합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