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김현정] 깨진 유리창을 방치해 두면 범죄가 발생한다는 ‘깨진 유리창의 법칙’을 아시나요?

'깨진 유리창 이론(Broken Windows Theory)'은 미국의 범죄학자인 제임스 윌슨(James Q. Wilson)과 조지 켈링(George L. Kelling)이 1982년 3월에 공동 발표한 '깨진 유리창(Broken Windows)'이라는 글에 처음으로 소개된 사회 무질서에 관한 이론입니다.

즉,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사소한 위반이나 침해행위가 발생했을 때 이것들을 제때에 제대로 처리하지 않으면 결국에는 더 큰 위법행위로 발전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1969년 스탠포드 대학의 심리학자 필립 짐바르도 교수는 매우 흥미 있는 실험을 했습니다. 치안이 비교적 허술한 골목에 동일한 자동차 두 대를 한 대는 보닛을 열어 놓고, 또 한 대는 보닛을 열고 고의적으로 창문을 조금 깬 상태로 1주일간 방치해 뒀습니다. 그리고 1주일 후, 두 자동차에는 확연한 차이가 나타났다고 합니다.

 
보닛만 열어둔 자동차는 그 어떤 변화도 일어나지 않았지만 차의 유리창을 깬 상태로 놓아둔 자동차는 그 상태로 방치된 지 겨우 10분 만에 배터리가 없어지고 연이어 타이어도 전부 없어지는 등 계속해서 낙서나 투기, 파손이 심화돼1주일 후에는 완전히 고철 상태가 되었다는데요.

단지 유리창을 조금 파손시켜 놓은 것뿐인데도, 그것이 없던 상태와 비교해서 약탈이 생기거나, 파괴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는 설명으로 이 실험에서 사용된 ‘깨진 유리창’이라는 단어로 인해 ‘Broken Window’라는 새로운 법칙이 만들어 진 것입니다.

‘깨진 유리창의 법칙’은 나중에 범죄 도시 뉴욕 시의 치안 대책에도 사용되었습니다. 1980년대 뉴욕 시는 당시 여행객들 사이에서 ‘뉴욕의 지하철은 절대 타지 마라.’는 말이 공공연하게 나돌 정도로 치안이 형편없었다고 하는데요.

지하철 흉악 범죄를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 ‘깨진 유리창의 법칙’에 근거해 낙서를 철저하게 지우는 것을 제안했고, 지하철의 차량 기지에 교통국의 직원이 투입되어 무려 5년 동안이나 시간을 투자해 모든 낙서 지우기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이후 뉴욕 시의 지하철 치안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믿기 어렵겠지만, 그때까지 계속해서 증가하던 지하철에서의 흉악 범죄 발생률이 낙서 지우기를 시행하고 나서부터 완만해졌고, 2년 후부터는 중범죄 건수가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94년에는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고 합니다. 결과적으로 뉴욕의 지하철 중범죄 사건은 75%나 급감한 것입니다.

이처럼 ‘깨진 유리창의 법칙’은 사소한 차이 하나가 얼마나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사소하지만 긍정적인 차이는 결국 커다란 변화를 이끌어내기도 하는데요.

혹시 자신은 ‘이거 하나쯤은 괜찮겠지’라고 소홀히 했던 것은 없는지, 또 내 주변에 깨진 유리창처럼 빈틈을 만들진 않았는지 한번쯤 되돌아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지식교양 전문미디어 - 시선뉴스
www.sisunnews.co.kr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