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박진아] AI로 인해 매년 농가는 곤혹을 치릅니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류엔자(AI)가 급속도로 확산하면서, 발생 한 달도 안 돼 살처분 된 혹은 예정된 가금류가 12일 기준으로 1천만 마리를 넘어섰습니다. 달걀값도 껑충 뛰어오르는 후폭풍도 예상 됩니다.

 

AI는 지난 2003년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생한 후 매년 발생하고 있습니다. 매번 똑같이 일어나는 일에도 왜 우리는 막지 못하고 갈수록 피해는 더 커지는 것일까요?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조류인플루엔자란?
조류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 바이러스는 철새, 닭, 오리 등 조류에 감염되는 바이러스로 전파속도가 매우 빠르고 사람에게도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인수공통 감염병 입니다.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전파속도, 폐사율 등 바이러스의 병원성 정도에 따라 고병원성(HPAI)과 저병원성(LPAI)으로 구분됩니다. 이 중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는 가축전염병예방법에서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현재 유행하는 조류인플루엔자는 H5N6형으로 고병원성입니다.

1) 철새들의 이동
방역 당국은 AI 확산의 주요 원인으로 철새의 이동으로 꼽고 있습니다. 지난 13일 검역본부는 철새 이동 경로와 주변국 H5N6형 발생을 볼 때, 겨울 철새의 번식지인 중국 북쪽지역에서 감염된 철새가 국내로 이동하면서 AI가 유입된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즉 AI의 유입 원인, 철새의 이동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밀집된 국내 환경
바이러스의 유입은 철새의 이동이었지만, 국내에서 전파되는 것은 조금 다른 이유라고 할 수 있습니다. 농장 간 전파는 철새 이동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농장들은 대부분 좁은 지역에 밀집돼 있습니다. 당연히 한정된 공간에 사육두수가 지나치게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따르면 12일까지 양성 확진 판정을 받은 전국의 농가 127곳 중 68곳(53%)이 가금류 밀집 사육 지역으로 꼽히는 충북 음성과 진천, 경기도 이천과 포천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국내 전파, 밀집된 환경이 이유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부실한 방역 시스템
매년 나오는 말입니다. 방역에 대한 인식과 시스템이 모두 부실한 것도 주원인입니다. 초동방역만 잘 이뤄졌다면 전국적인 확산으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겁니다.

이번 H5N6 AI 바이러스의 중간 역학조사 결과, 양성 확진 산란계 농가 38곳 중 28곳(73%)이 방역복이나 방역 신발을 제대로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실한 방역 시스템이 일을 더 키웠다고 할 수 있는 겁니다.

4) 인력 부족
살처분을 할 경우 1개 농장 당 15-20명 인력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현재는 그 절반에도 훨씬 미치지 못하는 5-6명 정도가 투입되어 제대로 처리가 이루어 지지 않고 있습니다. 발생 24시간 내에 시행되어야 하지만 일주일이나 늦어지는 경우도 다반사입니다. 인력부족의 탓 역시 부실한 방역시스템의 연장선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5) 정부의 안일한 태도
4번 내용에 연장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응조차 하지 못하고 허둥지둥 하는 사이에 사각지대 곳곳에서 AI가 터진 겁니다. 특히 최근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로 정부의 '컨트롤타워' 부재가 재난을 불러일으켰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고, AI 대응만 놓고 보면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에 비난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정부는 AI 유입 경로와 감염 원인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으며, 주무 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와 환경부, 지자체 간 손발도 맞지 않고 있습니다. 총체적 난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6) 개선되지 않는 대처법
현재는 매몰의 방법을 택하고 있습니다. 산 채로 자루에 담아 이산화탄소로 질식사시키고 미리 파놓은 커다란 구덩이에 아무렇게나 던져 넣어 중장비를 이용해 묻는 방식을 현재까지도 시행하고 있습니다. 애지중지 키운 동물들을 산채로 죽여야 하는 상황은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의 죄책감과 상실감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는 여전히 대책이 없습니다. 개선되지 않은 대처법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이런 차원에서 'AI 백신'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발생 후 확산을 막는 차원에서만 접근할 것이 아니라 예방적 차원에서 접근하자는 주장입니다. 중국, 베트남 등에서는 이미 백신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다가 이미 국내에서도 백신이 개발돼 있는 상태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날아오는 철새를 막을 방법은 없습니다. 매년 발생하는 만큼 앞으로도 매번 발생할 것으로 예상 됩니다. 게다가 변형인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도 다분한 상황입니다. 살처분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국가와 지자체가 하루빨리 힘을 합쳐 보다 근본적으로 해결해야 합니다. 무능한 정부의 한심한 대처, 올해가 마지막이길 바랍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