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박진아] 지난 2008년 7월 4일 인천 월미도. 축하와 환호성 속에 월미은하레일의 기공식은 이루어졌고, 그렇게 ‘국내 최초 도심관광용 모노레일-월미은하레인’이 우리 곁에 찾아왔습니다. 인천세계도시축전이 개막하는 2009년 8월 이전에 월미은하레일을 개통하겠다는 계획이었습니다.

그러나 야심차게 준비한 것이 무색할 정도로 현재 월미은하레일은 부실시공으로 인해 개통조차 하지 못하고 폐기처분 됐습니다. 자그마치 개통에 들어간 사업비용은 853억 원. 모두 시민의 혈세로 만들어진 레일이죠. 공중에서 국민의 혈세가 분해가 된 겁니다.

▲ 출처 - 인천교통공사

월미은하레일 차량은 조종사 없이 무인으로 조종되며 지상 6∼17m 높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움직입니다. 운행만 잘 됐다면 SF영화 속의 한 장면을 볼 수 있게 되는 거죠. 그러나 결론적으로 사업은 실패했고, 사업 실패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단체장 치적 사업을 위해 절대 공사 기간이 부족한 상태에서 공사를 무리하게 추진했다는 점입니다.

월미은하레일 기공식이 열린 것은 2008년 7월, 인천시가 당시 완공 시점으로 삼은 시기는 불과 1년 뒤인 2009년 7월이었습니다. 모두(冒頭)에서 설명한 것처럼 인천세계도시축전이 2009년 8월에 개막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런 무리한 일정은 결국 부실공사가 된 것입니다. 검찰의 2014년 수사결과에 따르면 기초설계 땐 여러 개의 말뚝을 박은 뒤 교각을 세우는 타입말뚝 방식이 채택됐지만, 실시설계 땐 시공 편의를 이유로 구멍 한 개를 뚫고 기초 말뚝을 박는 단일말뚝 현장 타설 방식으로 바뀌었습니다. 이로 인해 교각이 실제 시공 위치와 설계도면 위치가 많이 다르고, 직선 구간임에도 곡선인 것처럼 시공된 곳도 생겼습니다.

원심력 완화를 위한 '캔트'를 설치하지 않았고 곡선 진입 때 발생하는 충격을 막기 위해 설치되는 완화곡선은 곡선 구간 34곳 중 3곳만 설치했습니다. 영화 같은 모습을 연출함에 있어서 안전에 대해서는 보장할 수 없게 ‘빨리’시공된 겁니다. 여기서 나아가 일부 직원은 공사대금을 부풀려 하청업체에 지급한 뒤 돌려받는 수법으로 수천만 원을 챙긴 혐의로 경찰에 입건되기도 했습니다.

이런 무리한 공사는 여러 가지 사고로 이어졌고, 실제로 지난 2010년 6∼7월 시험운행 중 안내륜 파열 사고가 5차례나 발생했고, 같은 해 8월에는 파손된 안내륜이 10m 아래 행인에게 떨어져 인명피해 사고도 발생했습니다. 결국 정상운항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인천시는 2014년 월미은하레일 사업을 백지화하기로 하고, 새로운 시스템의 모노레일 사업을 추진하기로 결정한 겁니다.

무려 853억 원의 시민 혈세가 하늘로 날아가 버렸지만, 현재 이를 책임지는 사람은 아무도 없고 지금도 철거 이후에는 아무런 대책이 없습니다. 월미은하레일 차량을 공원 등지에 전시하는 방안도 한때 검토됐지만 전시 가치가 떨어지고 관리비만 축낼 수 있다는 지적이 우세해 결국 차량을 분해한 뒤 폐기처분을 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고, 차량의 철거작업은 일달 중 마무리 될 예정입니다.

최근 지진으로 인해 경주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 되었습니다. 현재 지진 피해 지원 비용은 75억 원 이상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혈세로 낭비된 853억 원의 1/10도 안 되는 비용인 셈입니다. 이 정도면 은하레일로 인해 버려진 돈이 얼마나 가치 있는 금액인지 가늠할 수 있습니다. 하늘로 쏘아올린 지자체 혈세 대대적인 책임에 대해 수술이 필요해 보입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