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문선아] 휘발유로 달리는 자동차와 달리 화학연료가 들지 않고 자연의 훼손을 줄이며 덤으로 건강까지 챙길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진 자전거. 하지만 막상 시내에서는 자전거를 타는데 자유롭지 못하다는 단점 때문에 자전거가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다.

 

차로 분류된 ‘자전거’는 지정된 자전거 도로가 없을 시 차로를 이용해야 하지만 자동차와의 사고 위험성 때문에 인도로 사람과 함께 다녔던 것이 현실이다. 이에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을 위한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자전거가 이용할 수 있는 도로가 많이 생겨나고 있다.

현재 자전거가 이용할 수 있는 도로로는 ■ 자전거 전용도로 ■ 자전거 보행자 겸용도로 ■ 자전거 전용차로가 있었지만 2013년 말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에 자전거 우선도로 항목이 포함되면서 ‘자전거 우선도로’가 생겨났다.

2014년 4월에 시행된 ‘자전거 우선도로’는 차량통행이 적은 도로에서 자전거와 차가 함께 다닐 수 있도록 만든 새로운 형태의 자전거 길이다. 차량 통행량이 적은 도로에서 자동차 운전자의 배려와 양보로 차도를 공유하는 것이 ‘자전거 우선도로’다.

자전거 우선도로의 활성화를 위해 서울시의 경우 지난해 6월부터 주말-공휴일 청계천로 청계광장~청계7가, 총 3.4km 구간을 자전거 우선도로로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자전거 도로에 대한 효용성은 의문이 들고 있다. 우리나라의 자전거 관련 도로는 꾸준히 늘고 있어 지난해 서울 기준 시내 자전거도로 길이는 775.9㎞에 달했으며, 2012년 이래 꾸준히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길이 늘어난 만큼 사고도 늘었다. 경찰청에 따르면 2011년 기준 9474건이던 전국 자전거 피해 사고 건수는 2015년 1만1390건으로 크게 늘었다.

자전거 사용자의 편의와 안전을 위해 만들어진 자전거 도로지만 자전거 사용자의 안전에는 별다른 효과를 못보고 있다. 자전거와 자동차, 사람 모두 안전하게 공존하기 위해선 도로의 확충만이 아니라 정책에 대한 정확한 홍보와 사회 구성원들 간의 충분한 합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