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심재민기자 / 디자인 이정선pro]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는 거저 얻어진 것이 아니다. 민주주의를 묵살하려는 세력으로부터 지켜내기 위해 많은 사람들의 투쟁이 있었다. 그 중 대표적인 ‘6월 민주항쟁’의 출발점으로 거슬러 올라가 보자.

먼저 6월 민주항쟁이란, 1987년 6월 10일, ‘6.10 국민대회’을 시작으로 전국적으로 민주화를 쟁취해내려는 투쟁으로 19일 뒤, 당시 전두환 정권이 ‘6·29 민주화 선언’을 발표하게 만들었다.

6월 민주화 운동은 크게 두 가지 사건이 발단이 되었다. 먼저 박종철 군 고문 살인 조작 은폐 사건이다. 1987년 1월 14일, 서울대생 박종철군이 치안본부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조사를 받던 중 고문·폭행으로 사망했다. 당시 경찰은 처음에는 단순 쇼크사로 발표하였으나, 물고문과 전기고문의 심증을 굳히게 하는 부검의의 증언으로 사건발생 5일 만에 물고문 사실을 공식 시인하며 국민의 분노를 사게 된다.

두 번째 사건의 발단은 전두환 전 대통령의 4.13 호헌조치이다. 4.13 호헌조치는 국민들의 민주화 요구(대통령 직선제)가 거세지자 1987년 4월 13일, 당시 대통령이던 전두환 전 대통령이 국민들의 민주화 요구를 거부하고, 일체의 개헌 논의를 중단시킨 조치이다. 당시 전두환 전 대통령은 정권을 고수하기 위해 군사 쿠테타를 함께 일으킨 노태우 전 대통령을 대통령 후보로 앞세워 대통령 선출을 ‘직선제’가 아닌 ‘간선제’로 추진하려고 했다.

그렇게 국민들의 분노는 높아갔고 1987년 6월 10일, ‘박종철 군 고문 살인 조작 은폐 사건’과 ‘4.13 호헌조치’가 촉매제가 되어 ‘국민 대회 선언문’을 시작으로 전국적인 민주화 운동이 벌어져 "호헌 철폐, 독재 타도“라는 구호가 전국에 울려 퍼졌다. 한편 동시에 이 날은 전두환 정권이 노태우를 대통령 후보로 지명하는 민정당 전당 대회가 열리는 날이기도 했다.

‘6·10 국민 대회 선언문’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오늘 우리는 전 세계의 이목이 우리를 주시하는 가운데 40년 독재 정치를 청산하고 희망찬 민주 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거보를 전 국민과 함께 내딛는다. 국가의 미래요 소망인 꽃다운 젊은이를 야만적인 고문으로 죽여 놓고, 그것도 모자라서 뻔뻔스럽게 국민을 속이려 했던 현 정권에게 국민의 분노가 무엇인지 분명히 보여 주고, 국민적 여망인 개헌을 일방적으로 파기한 4·13 폭거를 철회시키기 위한 민주 장정을 시작한다.”라고 시작한다.

6월 민주항쟁은 1987년 6월10일에서 1987년 6월 29일까지 진행되었는데 전국에서 500만 명, 부산에서만 30만 명 이상이 참가하는 시민항쟁이 전개되었다. 특히 18일과 26일에는 최대 규모의 시위가 벌어지며 국민의 민주화에 대한 갈망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마침내 1987년 6월 29일, 민주화 선언이 발표된다. 시위의 규모와 격렬함, 지속성 등에 놀란 전두환 정권은 계엄령 선포 등을 검토했으나 결국 국민들의 분노를 적절한 선에서 무마하는 ‘6·29 선언’을 발표하기에 이른다. 당시 민정당 대표 노태우 전 대통령은 ‘대통령 직선제 실시, 양심수 석방, 김대중 복권, 대폭적인 민주화 조치’ 등이 포함된 ‘6·29 선언’을 발표했다.

6월 민주화 항쟁의 의의는 탄압 속에서 계속된 민주화 운동의 결과. 광범위한 민주 대연합을 구성하여 함께 싸워 거둔 성과라는 것이다. 하지만, 노동자와 농민 문제, 5·18 항쟁의 진상 규명에 대한 언급이 없고 선언의 내용이 지나치게 모호하여 자의적인 해석이 가능하다는 등의 문제점을 지적 받기도 했다.

이렇듯 1987년 6월, 대한민국은 국민들의 민주화에 대한 열의로 뜨거웠다. 그리고 국민들은 결국 민주화를 지켜냈다. 6월은 대한민국의 민주화를 지켜낸 민주주의의 상징적인 달이라고 할 수 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