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심재민] 소풍날, 설레는 마음을 더욱 자극하는 향기가 있다. 도란도란 둘러앉아 하나씩 집어먹으면 맛은 물론 추억까지 든든하게 채워주는 김밥. 김밥은 신나는 소풍뿐만 아니라 간편한 한 끼 식사로도 손색이 없어 전 국민의 사랑을 받는 대표 음식이다.

 

김밥은 시대에 따라 형태는 물론 속 재료까지 다양하게 진화했다. 과거 참치, 치즈 정도로 특별함을 추구했다면 이제는 돈가스, 갈비, 제육볶음, 날치알, 크림치즈, 게살, 튀김, 샐러드, 병풀 나물, 꽁치에 이르기까지 일일이 나열 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해졌다. 건강한 한끼 식사로까지 개발되며 계속해서 그 인기를 높여가는 김밥은 과연 언제부터 만들어 먹게 된 것일까?

김밥의 유래에는 한국의 ‘고유음식이라는 설’과 ‘일본에서 전래되었다’는 설이 존재한다.

첫 번째 ‘한국 고유음식 설’은 삼국유사에 따른면 정월 대보름 풍습 가운데 김에 밥을 싸서 먹는 '복쌈(福裏)'이라는 풍습이 존재했다. 이 풍습이 밥을 김이에 싸서 먹는 풍속에 영향을 미쳤다는 설이 있지만 '복쌈'이 어떠한 형태의 음식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아 김밥과 역사적인 연결성이 있는 음식인지 확인 되지는 않고 있다.

두 번째 ‘한국 고유음식 설’은 국내 지리, 풍속 등을 기록한 ‘경상도지리지’와 ‘동국여지승람’를 보면, 전라남도 광양군 태인도의 토산품으로 김이 처음 등장한다. 이를 통해 김을 이용해 밥과 반찬이 될 만한 음식을 싸서 먹는 문화는 조선시대부터 존재하였음을 엿볼 수 있다. 그리고 조선시대 이후 김을 재료로 하는 음식문화가 발달하면서 근대에 들어와 김밥이 탄생한 것으로 보인다는 설이다.

그리고 마지막 ‘일본에서 전래되었다는 설’은 김밥이 일제강점기 때 돌돌 말아 만든 일본의 김초밥(후토마키)중에서 굵게 말아낸 ‘후토마키’로부터 전래했다는 주장이다. 실제 일제시대에 나고 자란 고연령층에서는 김밥을 노리마키라고 부르기도 했는데, 사각형의 넓은 김을 가장 아래에 깔고 그 위에 밥을 덮은 후 야채와 육류 등의 갖은 식재료을 놓고 말아서 적당한 크기로 썰어 먹는 요리법은 ‘후토마키’와 김밥의 공통점이기도 하다. 또 김밥을 말 때 쓰는 ‘김발이’라는 요리도구 역시 노리마키 요리에 쓰는 ‘마키스’와 크기, 형태, 재료(대나무)까지 유사한 점을 갖는다.

친숙하지만 그 요리법의 유래는 불투명한 김밥. 하지만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대표 음식임을 부정하는 사람은 없다. 어릴 적 추억의 김밥이 성인이 되고 바쁜 일상 속 간단한 한 끼 식사가 되었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의 여행과 함께하는 김밥은 설렘에 아랫배를 간질인다. 형태도 재료도 다양해지는 김밥이 언제나 친근하게 우리의 배를 또 가슴을 든든하게 채워주기를 바란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