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홍시라] 최근 인터넷 커뮤니티인 다음 아고라에서 ‘만 나이와 세는 나이’에 대한 논란이 한창이다. 이 커뮤니티에서 주장하는 것은 바로 우리나라의 세는 나이를 없애고 정부적인 차원에서 만 나이를 사용하자는 것이다.

이처럼 한국에서도 만 나이를 사용하자는 주장은 최근에만 일어난 것이 아니다. 법적으로도 ‘만 나이’로 통일됐고, 해외에서도 모두 ‘만 나이’를 쓰고 있는데, 고령화 시대에 우리만 굳이 1~2살 더 세는 한국식 나이를 쓸 필요가 없다는 주장이다.

 

‘세는 나이’란 태어남과 동시에 한 살을 부여하고 매년 새해마다 공평하게 하나씩 더하는 나이로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우리나라가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방식은 중국에서 유래하고 동아시아에서 주로 사용 되었다. 반면 서양식인 ‘만 나이’는 0세부터 시작해서 출생일에 나이를 더해 해가 바뀌는 것과는 상관없이 각자 생일이 한 살 더 먹는 기준점이다.

동아시아식 셈법의 유래에는 여러 가설이 있는데, 한자 문화권에서 0의 개념이 없기 때문에 1부터 시작했다는 가설과 인간존중 사상으로 뱃속 태아에게 나이를 적용했다는 가설이 있지만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이유는 없다.

결국 우리나라 설날 문화인 ‘떡국을 먹으면 한 살 더 먹는다’는 것도 한국식 나이 문화에서 나온 것이며, '동갑'이라는 말도 '60갑자가 일치하는 같은 해에 태어났다'고 해서 생긴 것이다.

그러나 세는 나이를 적용하면 12월 31일에 태어난 아기가 하루 만에 두 살이 되거나, 빠른 년생으로 인한 혼동이 생긴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동아시아 국가들이 100여 년 전부터 ‘세는 나이’ 방식을 폐지했다. 일본은 1902년 법령을 제정하면서 ‘만 나이’ 문화를 정착시켰고, 중국에서는 1966~1976년 사이 진행된 문화대혁명 이후 사라졌다. 북한에서도 1980년대 이후부터 ‘만 나이’를 사용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우리나라도 사실상 1962년부터 법적으로 ‘만 나이’를 기준으로 사용하도록 명시하고 있어 공문서나 법조문, 언론 기사에서도 만 나이를 쓴다. 그러나 일상생활에서는 관습적으로 세는 나이를 써 더 큰 혼선이 빚어지고 있는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도 유일하며, 법적으로도 사용하지 않는 ‘세는 나이’를 사용하는 이유는 서열을 결정하는 우리 문화의 영향이 크다. 나이가 많으면 서열이 높다는 인식으로 상대보다 우위에 서려는 것이다. 무엇보다 만 나이가 적용이 되면 어제는 형, 누나, 오빠, 언니였던 사람이 오늘은 동갑이 되는 애매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따라서 누구를 만나면 이름보다 먼저 ‘너 몇 살이니’를 묻고 호칭과 서열을 정리하는 습관이 존재한다. 나이를 넘어 더 성숙한 사회가 되는 길. 사람 자체를 바라보는 문화가 정착되어야 할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