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박진아] 강박장애는 강박적 사고(obsession)와 반복적인 행동(compulsion)을 주로 보이는 불안장애의 하나다. 강박장애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질병으로 현대인들에게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2010년~2014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하여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불안과 초조를 동반한 '강박장애'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환자는 2010년 20,490명에서 2014년 23,174명으로 연평균 3.1%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남성은 13,395명으로 전체 진료환자수의 57.8%(2014년 기준)을 차지했으며, 여성 진료환자수에 비해 약 1.4배 더 많았다. 그러나 연평균 증가율에서는 여성(3.4%)이 남성(2.9%)보다 0.5%P 높게 나타나 강박장애에 대한 예방이 필요해 보인다.

▲ 출처 - pixabay

특히 강박장애는 20~3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4년을 기준으로 건강보험 적용인구 10만 명당 강박장애 환자를 연령대별로 보면, 남성은 20대 106.2명, 30대 69.9명, 10대 61.2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은 20대 64.1명, 30대 53.3명, 40대 41.1명 순으로 강박환자가 많았다. 남녀 모두 20대가 가장 많았고 그 뒤를 30대가이었다. 남녀 간 격차는 10~20대에 1.5~1.7배로 가장 컸다.

'강박장애' 진료환자의 진료형태별 특성을 살펴보면, 입원진료를 이용하는 환자는 강박장애 환자의 2.2%(입원환자수/전체 진료환자수)인 510명에 불과하며, 주로 외래를 이용했다. 2010년부터 2014년까지 '강박장애' 질환으로 인한 진료비는 연평균 4.6% 증가했고, 급여비는 4.7% 증가했다. 입원 진료비는 2010년 16억원에서 2014년 18억원으로 연평균 3.0% 증가했으며, 외래는 같은 기간 75억원에서 88억으로 연평균 4.2%, 약국(약품비 및조제료 등)은 19억원에서 25억원으로 연평균 7.4% 증가했다.

또한 강박사고는 자신이 원하지 않는 것이므로 불안을 일으키고 이 불안을 조정하기 위한 자신만의 대책으로 강박행동을 하기도 한다. 대부분이 이런 강박사고나 강박행동이 비합리적인 것을 알고 있지만, 쉽게 멈출 수 없으며 심한 경우 일상생활을 할 수 없을 정도로 고통을 받기도 한다. 때문에 강박장애는 초기에 반드시 치료를 해야 한다.

한편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선구 교수는 20대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강박장애는 전형적으로 10대~20대에 많이 발병하며, 20대 환자가 많은 이유는 흔히, 치료를 받지 않고 방치하다가 일상생활에 방해가 될 정도로 증상이 심해져서 병원을 찾은 것으로 보인다"며 "미래에 대한 불안감, 직장 생활 및 가정생활의 어려움 등이 스트레스로 작용하는 것도 영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