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심재민] 대체공휴일로 설 연휴 마지막 날이 된 오늘. 새해 신년 복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유래된 놀이에 대해 알아보며 설 연휴를 마무리해 보자. 과거 대표적인 설 전 놀이 중 하나는 바로 ‘야광기 쫓기’다.

‘야광귀 쫓기’란 설날 밤에 ‘야광이’라는 귀신을 쫓기 위하여 대문에 여러 갈래의 ‘체’를 걸어두는 풍속이다. 설날 밤에 ‘야광이’라는 귀신이 대문 안으로 들어와 사람들의 신을 신어보고 자기 발에 맞으면 신고 간다는 속설이 있는데 이 사라진 신발 임자는 그해의 운수가 나쁘다고 하여 그날 밤 아이들과 어른이 모두 신을 방안에 들여놓고 일찍 잠을 자며 ‘야광이’ 귀신을 피한다.

 

또 대문 위에다 체를 걸어두거나 마당에 장대를 세워 그곳에 체를 달아 매어두면 호기심 많은 ‘야광이’가 신발을 훔치러 와서 체에 정신을 팔려 그 구멍을 세어보다가 잘못 세어 또 다시 세고 또 세고를 반복하다 원래 목표였던 사람의 신발을 신어보는 것도 잊어버리게 된다. 그렇게 새벽닭이 울게 되면 그제 서야 정신을 차린 ‘야광이’는 신발은 신어보지도 못하고 물러가고 사람들은 신발을 지키게 되고 새해 운수 또한 보호하는 되는 것이다. 옛날 지방에 따라서는 이른 오후 5시부터 ‘야광이’를 귀신을 쫓는다며 ‘야광귀 쫒기’를 시작하는 집도 있었다.

설 세시풍속인 ‘야광귀 쫒기’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기 위해서는 조선시대 정조 때 실학자인 유득공의 ‘경도잡지’를 들여보면 된다. ‘경도잡지’에는 “귀신의 이름에 ‘야광이’라는 것이 있으니 밤에 사람의 집에 들어와 신을 훔치기를 좋아한다. 그러면 신의 임자는 불길하다. 그러므로 어린이들은 이를 두려워하여 신을 감추고 불을 끄고 일찍 잔다. 그리고 마루의 벽에다 체를 걸어두면 야광이가 와서 그 구멍을 세다가 다 못 세고 닭이 울면 도망간다고 한다.” 라고 기록되어 있다.

‘야광귀 쫓기’에는 의문점이 있다. “왜 ‘야광이’라는 귀신을 쫓기 위하여 유독 ‘체’를 걸어 두라고 하는 것인가” 와 “야광이가 왜 ‘체’의 구멍을 왜 세는가”가 바로 의문점이다. 이는 예로부터 귀신이 ‘눈이 많이 달린 것’에 두려움을 느낀다고 전해지는데 큰 예로 전통 장례식 행렬 앞에 네 눈을 가진 가면을 세우는 것을 보더라도 알 수 있다.

선조들은 ‘야광이’ 귀신이 체의 구멍을 ‘눈’으로 본다고 여겼다. 따라서 야광이 귀신이 체의 구멍을 보면, 눈을 많이 가진 자라고 착각하고 두려움을 느끼고 집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주저한다는 것이다. 또한 수많은 체의 구멍의 숫자를 세다가 날이 밝아 결국 귀신이 집안으로 들어오지 못하는 것이다.

불길할 지도 모르는 새해의 악귀에 대한 상상을 다소 익살스럽게 표현해 내며 유쾌하게 새해의 불운을 떨쳐내고자 했던 ‘야광기 놀이’. 귀신은 주로 밤에 번쩍 하고 보인다 하여 ‘야광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전해지는 등 만화 같은 발상이 참 귀엽기까지 하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