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홍시라] ‘수석’이라는 단어는 어떤 집단에서 가장 상석의 사람(윗사람)을 수식할 때 사용한다. 각계각층의 가장 뛰어난 사람이나 윗사람에게 수석이라는 수식어가 붙는데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들에게도 2012년부터 ‘수석교사제’가 시행되어 수석교사라는 직급이 생겼다.

'수석교사'란 말 그대로 수업 전문성이 있는 우수한 교사를 말한다. 수업을 탁월하게 잘하는 교사에게 교장, 교감 등 관리직에 진출하는 대신 '수석교사' 타이틀을 얻게 함으로써 다른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수, 수업 컨설팅, 학생 지도 등을 담당하게 한 것이다. 교원 자격 체계를 행정관리 전문가(교장·교감), 수업 전문가(수석교사)로 이원화하여, 교사의 전문성을 키워 공교육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취지가 담긴 제도다.

 

수석교사에게는 수업시간 수 2분의 1 경감, 담임 면제, 월 40만원의 연구활동비 지급 등의 혜택도 준다. 그러나 이러한 혜택에도 선발 인원이 적어지고 있는 것은 대체 인력 확보에 실패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수석교사들의 수업시간이 줄면 다른 교사가 수업을 대체해야 하는데, 이를 위한 교원 증원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행정자치부가 ‘저출산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 등의 이유로 교원 인력 증가에 대해 반대하고 있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수석교사의 애매한 위상과 실질적인 우대 효과 미흡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대체 교원이 충원되지 않아 수석교사가 담임을 계속 맡는 경우도 있고, 월 40만원의 연구 활동비도 수당이 아닌 정산을 통해 지급되는 등 실질적인 혜택도 크지 않다고 한다.

수석교사는 임용 후 4년이 되면 재임용 여부를 심사받게 돼 있다. 따라서 2012년 선발된 1기 수석교사 1천122명에 대해서는 현재 각 시도 교육청이 이달 말까지 재심사 절차를 진행 중이다. 그나마도 현재 있는 수석교사도 없어질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2012년부터 본격 시행에 들어간 ‘수석교사제’는 첫해에는 교육부는 각 시도 교육청을 통해 1기 수석교사 총 1천122명을 선발했으나 이듬해인 2013년에는 신규 선발 인원이 527명, 2014년 249명, 2015년 98명으로 줄었다.

올해 3월1일 임용될 신규 수석교사는 지난해 3분의 1수준인 총 32명으로 줄어 논란이다. 전국 32명 가운데 경남이 12명, 경북 9명, 서울 8명, 광주 2명, 대전 1명으로, 17개 시·도 가운데 이 5곳을 제외한 나머지 12곳은 수석교사를 아예 한 명도 뽑지 못했다.

교육부는 수석교사제 도입 당시 공청회나 언론 홍보 등을 통해 수년 내 총 1만 명의 수석교사를 선발하여 전국의 모든 학교에 1명씩 배치하겠다는 '장밋빛' 계획을 밝혔으나 결론적으로는 '공약(空約)‘에 그쳐버렸다.

수업을 잘하는 교사의 전문성을 극대화 한다는 취지에서 도입된 '수석교사제'. 올해로 5년째를 맞았지만 점점 줄어드는 규모와 좋지 못한 교사에 대한 대우 등 제도가 흔들리고 있다. 학교 현장에서 수석교사의 애매한 지위와 실질적인 우대책 미흡. 그리고 이 모든 것을 야기시키는 교원의 부족. 정부는 수석교사제를 이끌고 나가려면 많은 고민을 통한 보완책이 필요할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