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기사는 청소년들에게는 올바른 역사의식을 고취시키고 시선뉴스를 구독하는 구독자들에게 한국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제작되는 기획기사입니다. 본 기사는 사실적인 정보만 제공하며 주관적이거나 아직 사실로 판명되지 않은 사건의 정보 등에 대해서는 작성하지 않는 것(혹은 해당 사실을 정확히 명시)을 원칙으로 합니다※

[시선뉴스 이호기자] 고려에서 불교는 신라시대와 마찬가지로 태조서부터 국교(國敎)로 숭상하였고 이로 인해 국가의 지도이념으로 자리잡았다.

불교는 단순한 종교가 아닌, 국가를 수호하는 호국적인 성격이 강하였고 왕실부터 백성까지 귀의를 받아 종교, 사상뿐만 아니라 일상생활까지 깊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렇듯 불교가 고려의 많은 부분에서 영향을 끼치다 보니 사찰은 사원전(사찰 소유의 땅)외에 왕실 귀족들이 시주한 토지와 노비가 증가되어 대장원을 소유하게 된다.

 

또한 승과제도(승려를 대상으로 한 과거제도)를 마련하여 합격하면 교종, 선종을 막론하고 대선(大選)이라는 첫 단계의 법계를 수여했다. 또한 왕실에서 불교에 관련한 일들을 맡는 왕사(王師), 또는 국사(國師)제도를 두었는데 이들은 의례상 국왕보다 상위에 위치하는 등 승려를 우대하는 제도가 많았다.

또한 문종 때는 승려 개인에게도 별사전(別賜田)을 지급하였으며, 사원에는 면세·면역의 특전까지 부여하는 등 불교에 대한 많은 혜택과 정책이 있어 많은 승려들이 배출되었다.

불교는 또한 나라를 지키는 호국적인 성격과 현세구복적(현세에서 잘 먹고 잘 살기를 바라는 것), 귀족적인 불교로 보호 육성되었다. 따라서 고려시대에는 대사찰 건립, 연등회 행사, 대장경의 조판 등 국가적 불교 사업이 활발하였다.

문종의 4째 아들인 의천은(義天)은 몰래 송나라 상인이 배를 타고 송나라로 건너가 화엄교리와 천태교리를 배우고 돌아왔다. 불교 초기에는 5교(五敎:敎宗)와 9산(九山:禪宗)이라는 종파들이 난립하여 대립적이고 침체적인 상황이었다. 의천은 이런 불교를 통합 발전시키기 위해 교선일치(敎禪一致:교종과 선종이 상호 융통한다)를 주장하였고 숙종 때에는 천태종을 창설하여 교관겸수(敎觀兼修:교학 수련을 중심으로 선을 포용한다 – 교종을 중심으로 선종을 통합한다)를 통해 통합해 버렸다.

원효의 화쟁사상을 중시하며 창시된 천태종은 무신의 난 이전까지 보호되었지만 그 후 지눌(知訥)이 조계종(曹溪宗)을 개창하여 고려의 불교는 다시 분리되었다.

무신정권은 현실참여적인 천태종 세력을 억압하기 위하여 정책적으로 조계종을 후원했고 이로 인해 조계종은 크게 발전하게 된다.

하지만 원 간섭기에 이르러서는 미신적인 면이 강한 라마 불교가 유입되어 불교행사, 사탑의 건립 등의 재정낭비가 극심했으며 승려들은 백성들을 상대로 고리대금업, 상업행위, 양조업 등으로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 거기에 세속화된 승려들은 비행을 끊임없이 일으켜 불교계가 전체적으로 타락하게 된다.

이런 부패된 불교 때문에 백성들의 고통이 심화되자 이를 비판하는 세력이 나타나는데 바로 주자성리학을 중심으로 한 신진 사대부다. 신진 사대부는 불교의 현실적 기능을 긍정했던 억불론과 불교의 교리를 부정한 척불론으로 나뉘어 졌는데 억불론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이색이 있고 척불론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정도전이었다.

국교로서 팔만대장경 등 호국적인 성격과 현세를 중시했던 고려의 불교. 국가에 큰 난이 일어났을 때 백성들을 똘똘 뭉치게 하고 현세의 고단함을 극복하는 데에는 큰 도움이 되었지만, 종교의 힘이 국권을 넘어설 때 찾아오는 부패와 타락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던 것 같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