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이호기자] 최근 영화 사도가 큰 화제가 되면서 다시금 조선의 왕들이 주목되고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조선 왕의 이름들을 보면 이 이름들이 어떻게 지는 것인지 궁금함이 몰려온다. 과연 왕의 이름은 어떤 규칙을 가지고 지어지는 것일까?

우리가 역사시간에 배우는 태조, 정종, 태종, 세종, 문종, 단종, 세조, 예종, 성종, 연산군, 중종, 인종, 명종, 선조, 광해군, 인조, 효종, 현종, 숙종, 경종, 영조, 정조, 순조, 헌종, 철종, 고종, 순종은 왕의 사후에 후대가 그 공덕을 기려 지은 이름으로 묘호(廟號)라고 한다.

 

뒤에 붙는 조(祖)나 종(宗), 군(君)은 왕의 시작과 끝에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조는 나라를 새로 일으키거나 나라의 정통이 중단되었던 것을 다시 일으킨 왕에게 사용하고 종은 세습제에 따라 세자로 책봉되었다가 왕위에 오른 적통 임금을 뜻한다. 또한 군은 폐위되어 종묘에 들지 못한 왕을 뜻한다.

조선시대의 왕 중 묘호에 조가 붙은 임금은 7명으로 태조, 세조, 선조, 인조, 영조, 정조, 순조가 있다. 태조는 나라를 새롭게 일으켰기 때문에 조가 붙었고 세조는 계유정난으로 조카 단종 뒤를 이어 조가 붙었다. 그리고 선조는 임진왜란을 겪었기 때문에 조를 붙였다.

왕위를 빼앗아 임금에 오른 세조와 인조는 왕위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조를 붙였다. 그 외의 선조, 영조, 정조, 순조는 원래 종을 적용했지만 종 보다 조를 한 단계 더 높은 왕으로 여겼던 후대 왕들이 종을 조로 바꾸어 왕권을 강화하려 했다.

또한 임금의 이름은 감히 불려서는 안 될 신성한 것이었기에 일반 백성들이 자주 사용하지 않는 글자와 외자로 지었다. 이를 알아보면 아래와 같다.

태조(이성계), 정종(이방과), 태종(이방원), 세종(이 도), 문종(이 향), 단종(이홍위), 세조(이 유), 예종(이 황), 성종(이 혈), 연산군(이 융), 중종(이 역), 인종(이 호), 명종(이 환), 선조(이 균, 왕위에 오른 후 이 연), 광해군(이 혼), 인조(이 종), 효종(이 호), 현종(이 연), 숙종(이 순), 경종(이 윤), 영조(이 금), 정조(이 산), 순조(이 공), 헌종(이 환), 철종(이원범, 왕위에 오른 후 이 변), 고종(이재황, 왕위에 오른 후 이 형), 순종(이 척)

그리고 최근 영화로 이슈가 되고 있는 사도세자의 사도(思悼)는 영조가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두어 죽인 후 세자에게 하사한 시호로 생각 사(思), 슬플 도(悼)라는 글자를 사용하여 ‘생각하면 슬프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영화나 드라마로 보면 재밌지만 공부로 하려면 지루한 역사. 하지만 조선시대 임금의 묘호를 알면 그 역사의 흐름도 이해하기 쉬워지기 마련이다. 단순히 ‘태정태세’를 반복하여 외우는 것 보다 묘호를 통한 흐름을 이해하면서 이야기를 풀어나가면 지루한 역사도 재밌는 옛날이야기가 될 수 있지 않을까.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