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문선아 인턴] 지역 상권을 보호하기 위해 정부가 내놓은 대책방안은 매장면적 3000㎡이상의 경우 대규모 점포는 영업시간을 제한하고 근거리 상권 안에 동일브랜드가 출점하지 못하도록 출점 제한 거리를 설정하였다. 이에 대규모 매장들은 신규 점포를 출점할 때나 운영에 있어서 많은 제재를 받았다.

이렇게 대형 유통업계가 제재를 받아 주춤하는 사이 대형 점포가 아닌이 소규모 편의점 점포수는 가파르게 증가했다. 한국의 편의점 수는 2010년 1만 6,937개에서 지난해 말 기준 2만 6,020개로 불과 4년 만에 9,000여 개가 늘어났다. 남으로는 마라도에서 북으로는 개성공단, 동으로는 울릉도에서 서로는 서해 5도까지 전국 곳곳에 편의점 없는 곳을 찾기 힘들 정도다.

▲ 골목마다 서로 다른 브랜드 편의점들이 우후죽순 생기고 있다.

대규모 자본을 소유한 브랜드 편의점과 동네슈퍼 사이의 경쟁은 결말을 알고 보는 반전 영화와 같다. 관련 법상 동일 브랜드가 아니면 출점을 제한할 수 없어 브랜드 편의점은 동네마다 증가하고 여기에 서로 다른 브랜드 편의점들이 경쟁을 하면서 저가 할인행사 등 물량공세를 피면서 영세 동네슈퍼들이 줄줄이 폐업을 하는 상황까지 이르렀다.

▲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이 늘어나자 중소기업청은 동네 슈퍼를 육성한다는 취지로 2010년부터 나들가게 육성 지원사업을 시작했다.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이 늘어나자 중소기업청은 동네 슈퍼를 육성한다는 취지로 2010년부터 나들가게 육성 지원사업을 시작했다. 나들가게로 선정되면 시설 리모델링과 저금리 융자 지원 및 판매시점정보관리(POS) 단말기를 설치해 경영관리가 쉽도록 했다. 첫 사업연도인 2010년에 2,302개가 생겨난 나들가게는 2012년까지 약 1만 개가 문을 열었다.

▲ 대형마트들과 신설 편의점들로 인해 동네 슈퍼의 설 자리가 점차 줄어 들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대규모 자본이 갑이 되는 것은 당연한 이치일 것이다. 대규모 자본을 가진 편의점이 많이 생기면서 상대적으로 약자가 된 동네슈퍼가 살아남기 위해 자신들만의 브랜드인 나들가게를 형성하고 운영하는 것은 대형 자본을 대처하는 소규모 자본의 자구책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자구책도 대형 자본 앞에선 소용없는 일이 될 것이다. 서로간의 상생을 위해 대기업 편의점들의 과도한 점포 개설 정책과 지나친 가격 경쟁은 지양되어야 될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