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기사는 청소년들에게는 올바른 역사의식을 고취시키고 시선뉴스를 구독하는 구독자들에게 한국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제작되는 기획기사입니다. 본 기사는 사실적인 정보만 제공하며 주관적이거나 아직 사실로 판명되지 않은 사건의 정보 등에 대해서는 작성하지 않는 것(혹은 해당 사실을 정확히 명시)을 원칙으로 합니다※

[시선뉴스 이호기자] 한반도에 있는 모든 박씨(朴氏)의 시조는 신라의 초대 왕(거서간) 박 혁거세다.

혁거세(赫居世)는 기원전 69년에 태어나 기원후 4년에 사망하였으며 기원전 57년 ~ 기원후 4년까지 재위한 인물로 그의 신기한 탄생 설화는 일연의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다.

기원전 69년 진한의 여섯 마을의 촌장들은 각기 자기 자녀들과 함께 알천 언덕에 모여 덕이 있는 사람을 왕으로 추대하자는 의논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마침 그 때, 회의 장소인 알천 언덕에서 남쪽으로 그다지 멀지 않은 양산(楊山)이라는 산기슭에 번갯불 같은 이상한 기운이 돌았고, 나정(蘿井)이라는 우물에서 번갯불이 솟아오르고 있었다. 그리고 그 옆에는 하얀 말 한 마리가 절하는 것처럼 한참 꿇어 엎드려 있다가 길게 소리쳐 울고는 하늘로 날아올라가 버렸다.

 

말이 떠나고 촌장들이 그 말이 있었던 장소로 가봤더니 자줏빛의 큰 알이 하나 놓여 있었다. 촌장들이 그 알을 보고 있으니 갑자기 깨져버렸는데, 그 안에 생김새가 몹시 단정하고 아름다운 한 사내아이가 있었다. 모두들 놀라고 신기해하며 아기를 동천(東泉)이라는 샘에 데리고 가서 몸을 씻기자 아기의 몸에서 광채가 나고, 짐승들이 몰려와 덩달아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추었고, 하늘과 땅이 울렁이며 태양과 달의 빛이 더욱 밝아졌다. 이런 기이한 상황을 목격한 촌장들은 그 아이의 알이 매우 커서 박과 같다고 하여 성을 '박(朴)'으로 하고 이름을 ‘혁거세 거서간(赫居世居西干)’이라고 지었다.

이 설화에 의하면 신라 역시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난생설화를 차용함으로써 시조의 비범함을 강조시켰다. 또한 알에 대한 의미를 더 부여하여 성씨까지 ‘박’으로 하는 등 난생설화에 힘을 더욱 준 느낌이다. 또한 왕호 역시 ‘귀인’이라는 뜻의 거서간을 사용함으로써 혁거세의 왕위 정당성을 비범함과 동시에 하늘이 정했다는 의미를 부여하려고 하였다. 거기에 왕비인 알영 부인도 알영정이라는 우물가에서 계룡의 왼쪽 갈비에서 태어났다는 점은 삼국 중 다른 국가들과는 그 급이 다름을 보인다.

이렇게 비범한 혁거세는 10여세에 이르자 남달리 생각이 뛰어나고 성장 속도가 달랐다. 이에 13세에는 촌장들의 추대를 받아 기원전 57년에 왕으로 올랐는데, 왕호를 거서간(居西干)이라 하고, 국호를 서나벌(서라벌)이라 했다. 아직 신라라는 이름은 사용하지 않았다.

혁거세는 기원전 41년(즉위 17년)에 왕비 알영 부인과 함께 6부를 두루 방문하며 노동을 치하했는데 농사와 누에치기에 힘쓰도록 권장하였다. 기원전 39년(즉위 19년) 봄 정월에는 변한(卞韓)이 나라를 바쳐 항복해 오는 등 국력과 위상이 점점 강해졌으며 기원전 37년(즉위 21년)에는 수도 금성에 성을 쌓았다. 기원전 32년(즉위 26년)에는 금성에 궁실을 지어 비로소 하나의 국가 기틀을 잡게 되었다.

혁거세는 왕으로서 어진 성품을 가졌다고 알려져 있다. 그 예를 보자면 기원전 28년(즉위 30년)에는 낙랑이 침범하였으나 서라벌의 안정되고 평화로운 모습을 보고 도덕의 나라라 하여 스스로 물러가는 그 때 당시로는 매우 희귀한 사건이 있었다.

그리고 마한은 그 당시 신라의 바탕인 진한을 속국으로 보고 있었는데, 혁거세가 원전 20년(즉위 38년) 봄, 음력 2월에 예의상 사신 호공(瓠公)을 마한으로 보냈다. 마한 왕은 혁거세가 조공을 바치지 않는 것에 대해 호공을 꾸짖었는데 호공이 조공을 바칠 필요가 없다고 하자 마한 왕이 분노해 죽이려 했지만, 신하들의 만류로 놓아주었다. 그리고 이듬해 마한 왕이 죽어 신하들이 마한을 정벌할 것을 권하자 혁거세는 “다른 사람의 불행을 요행으로 여기는 것은 어질지 못한 일이다.” 하여 사신을 보내 조문하였다. 그리고 그 해에 백제의 시조 온조가 왕위에 올랐다.

그리고 기원전 5년(즉위 53년)에는 동옥저(東沃沮)의 사신이 와 말 20필을 바치는 등 혁거세의 위엄과 성품이 널리 알려지고 있었다.

이렇게 어진 성품이었던 혁거세는 죽음도 남달랐다. 재위 62년 만에 하늘로 승천하였다가 7일 만에 시신이 부위별로 나뉘어 흩어져서 지상으로 떨어졌는데, 백성들이 혁거세의 나뉜 몸을 다시 하나로 모아 장사를 지내고자 하였다. 그런데 갑자기 커다란 뱀 한 마리가 나타나 사람들을 쫓아내며 훼방을 놓아 백성들은 하는 수 없이 양 다리, 양 팔, 그리고 몸통과 얼굴을 따로 묻어 다섯 개의 무덤을 만들게 되었고 이 무덤들을 가리켜 오릉(五陵)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혁거세의 어진 성품은 타국에서 침범을 하려다 돌아가거나 성인으로 받들어지며 말을 바치는 등 매우 이례적인 상황을 연출시켰다. 하지만 탄생과 죽음이 모두 너무 비약적인 표현들이 많아 혁거세의 업적마저 연출된 것이 아니냐는 역사학자들의 의견도 있다.

한반도 모든 박씨들의 시조 혁거세는 폭력과 전쟁이 난무하던 시기에 보기 드문 어진 인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평가가 나타날 수 있었던 이유는 다른 나라의 시조들이 원래 살던 곳에서 쫓겨 오는 등의 갈등이 있었던 것에 비해 혁거세는 건국에 심각한 갈등이 없었기 때문이지 않을까.

지식교양 전문채널 – 시선뉴스
www.sisunnews.co.kr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