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박진아] 지난 20여년간 한국 중산층의 삶의 질은 어떻게 변화 됐을까? 2월 12일 최성근 현대경제연구원의 '우리나라 중산층 삶의 질 변화' 보고서를 보면 2013년 기준 한국의 중산층 가구는 765만가구로 1990년(486만가구) 이후 연평균 2.0% 늘어났다. 그러나 1990년 전체 가구에서 중산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75.0%에서 2013년에는 67.1%로 낮아졌다.

중산층의 대표가구 형태도 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1990년 중산층은 '4인가구-30대 후반-고졸-외벌이'였지만 2013년에는 '3인가구-40대 후반-대졸-맞벌이'로 변했다. 23년간 중산층의 대표가구는 ‘가족 수는 줄고, 나이는 고령화되고 맞벌이’가 많아진 것이다.

 

또한 중산층의 소득은 1990년 월평균 82만원에서 2013년에는 384만원으로 연평균 7.0% 증가했다.

하지만 문제는 비용(물가상승)이다. 전·월세 부담이 급증하면서 중산층의 주거비용이 큰 폭으로 늘어났다. 중산층 가구의 평균 전세보증금은 1990년 890만원에서 2013년에는 1억1707만원으로 연평균 11.8%가 늘어났으며, 중산층 평균 가처분소득 대비 보증금은 1990년에는 1.1배였지만 2013년에는 3.1배로 늘어났다. 소득지출 대비 월세 지출 비중도 1990년 11.9%에서 2013년에는 12.8%로 높아졌다.

교육비도 다른 계층에 비해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산층 가구의 소비지출 대비 교육비 지출(정규 교육비와 보육비, 대학등록금 포함)은 1990년 13.4%에서 2013년 20.9%로 높아졌고, 특히 가처분소득 대비 사교육비 부담은 2000년 6.8%에서 2013년 10.5%로 높아졌다.

주거비용과 교육비 지출이 늘어나면서 오락·문화·외식비 지출 비중이 축소됐다. 중산층 가구는 1990년에는 총소비지출의 5.9%를 여가에 들였지만 2013년에는 5.3%만 썼다.

또한 보건·의료비 지출 비중도 1990년 6.5%에서 2013년 6.4%로 소폭 감소했다. 중산층의 여가 소비가 좀처럼 늘어나지 않으면서 내수도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연구위원은 전했다.

지식교양 전문채널 – 시선뉴스
www.sisunnews.co.kr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