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이호기자] 우리나라 최대 명절인 설. 대부분의 학생들이 가장 기대하는 날 중 하나가 아닐까 합니다. 왜냐하면 다른 명절과 다르게 설은 세뱃돈이 있기 때문인데요, 과연 세뱃돈을 주는 풍습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요?

세뱃돈은 중국에서부터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정월 초하루, 즉 설날이 되면 전통적으로 결혼하지 않은 자식에게 '돈을 많이 벌라'는 뜻으로 행운과 악한 기운을 쫓는다는 붉은 색의 봉투에 돈을 넣어 주는 풍습이 있습니다.

 

이 풍습은 일본에도 전해졌는데요, '에도'시대에는 도시에만 전파되었었지만 60년대 이후부터는 경제가 발전함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행하여져 오늘까지 이어져 오고 있습니다. 일본은 세배는 하지 않지만 새해 인사를 하면서 줍니다. 일본 말로는 ‘오토시다마(お年玉)’라고 합니다.

베트남 역시 중국에서 풍습이 전해져 빨간 봉투에 신권으로 소액의 지폐를 넣어주는 '리시(Lysi)'라는 관습이 있습니다. 역시 세배는 받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조선시대에는 세배를 받고 돈을 주는 것을 경시하는 분위기였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체면’을 매우 중시했기 때문인데요, 그 때문에 돈 대신 떡이나 과일 등 먹을 것을 내주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역시 시간이 흐르면서 복주머니에 넣으라고 돈을 주는 경우가 많아졌고 세뱃돈을 주고받는 풍습은 일본처럼 경제가 발전하면서 더욱 자연스러워 졌습니다. 우리나라는 세뱃돈을 줄 때 봉투에 학용품이나 책을 사라는 글을 써서 줬습니다. 세뱃돈이 그저 금전을 뜻하는 것이 아닌 자기 계발에 힘쓰라고 하는 의미였습니다.

지금은 애초의 좋은 뜻과는 많이 떨어져 설날은 세배하고 돈을 받는 날로만 인식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세뱃돈을 주거나 받는 크기로 자신의 부를 과시하지 말고, 진정한 세배의 뜻을 잘 새겨 올바르게 주고받는 문화가 정착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지식교양 전문채널 - 시선뉴스
www.sisunnews.co.kr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