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기사는 청소년들에게는 올바른 역사의식을 고취시키고 시선뉴스를 구독하는 구독자들에게 한국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제작되는 기획기사입니다. 본 기사는 사실적인 정보만 제공하며 주관적이거나 아직 사실로 판명되지 않은 사건의 정보 등에 대해서는 작성하지 않는 것(혹은 해당 사실을 정확히 명시)을 원칙으로 합니다※

[시선뉴스 이호기자] 철기 문화가 보급되면서 농업 생산력이 증대되었고 이를 토대로 각국은 점차 고대 국가로 발전하였다. 우리가 알고 있는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시대가 대표적인 고대 국가 시대다.

고대국가가 청동기 시절의 연맹왕국과 구분되는 것 중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은 ‘왕권’의 강화이다. 왕은 전쟁을 하고 승리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지배력을 강화할 수 있었고, 강화된 권력으로 기존 연맹왕국시절처럼 왕을 선출을 하는 것이 아닌 세습하는 것을 이루어내게 되었다. 이 때 세습은 처음에는 형제 세습이 이루어 졌었으나 권력욕이 강해지면서 형제가 아닌 부자 세습으로 정착이 되어 나갔다.

또 고대국가는 ‘율령’을 반포하기 시작한 시대다. 율령이란 고대 국가의 법률로서 ‘율’은 형벌 법규이고, ‘령’은 행정 법규를 말한다. 삼국 시대의 중앙 집권 체제가 정비될 무렵, 각국의 왕은 법률을 만들어 통치 기반을 확립하고 왕권을 강화했는데, 백제 고이왕(3세기), 고구려 소수림왕(4세기), 신라 법흥왕(6세기) 순으로 율령을 반포하였다. 율령이 반포됐다는 것은 정치 체제가 정비됐다는 것을 의미하여 관등제와 관복제가 정착되어 기존의 군장 세력은 국왕 아래의 신하로서의 성격을 띤 귀족으로 통합되어 갔다.

 

이렇게 통합된 고대 국가의 귀족들은 원래 부족 사회의 족장 출신이었다. 소수의 혈연적 특권을 가진 계층이었고 때문에 매우 폐쇄적인 신분이어서 그 외의 신분을 배척하였다. 이런 이권을 유지하기 위해 지방 세력이나 다른 세력이 새로운 세력으로 성장하는 것을 극히 방해했다. 따라서 그들이 조직한 통치체제는 자신들의 특권을 유지하고 강화하기 유리한 방향으로만 정비되었다.

고대국가 시대에는 관직 체제가 정비되기 시작한 시기이나 정착은 되지 않았고 행정업무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정국의 운영도 합리성이 부족했다. 따라서 힘의 논리가 곧 정책이 되곤 했다. 또한 문(文) 보다는 무(武)가 중시되었는데 이는 고대 국가들이 주변국가와 끊임없이 전쟁을 벌여 영토 확장을 꾀하는 데에 열중을 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군사력이 가장 강했던 왕은 권력이 더욱 더 강해지게 되어 중앙 집권을 이루어 내게 되었다. 또한 활발한 정복활동을 통하여 지배하게 되는 영토가 확장되었고 이로 인해 부족이 따로따로 떨어져 있던 부족국가를 넘어서 영토의 개념이 갖춰진 영역 국가로 성장하게 됐다. 이와 동시에 관리와 군대를 각 지방에 파견하는 등 지방에 대한 통제력을 높여 중앙의 정책을 더욱 잘 전달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백성을 사상적으로 통합하고 효율적으로 복종시키며 국왕의 권위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불교를 수용했다. 석가를 왕에 비유하여 국왕의 정당성을 높이고 윤회사상으로 귀족으로 태어난 것에 정당성을 두어 설명하게 하였다. 백성들 역시 미륵을 잘만 믿으면 다시 태어날 때 더 좋은 환경에서 태어날 것을 믿어 불교는 왕과 귀족, 백성들을 모두 만족시키며 크게 전파되었다.

본격적인 왕권 시대가 시작된 고대 국가 시대. 권력은 전쟁을 승리하기 위한 군사력에서 발생하였고, 백성들을 다스리는 것을 쉽게 하기 위해 종교를 이용한 정책을 썼다는 것이 고대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현대와 많이 다르지 않다는 것이 재밌다.

지식교양 전문채널 – 시선뉴스
www.sisunnews.co.kr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