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박진아] 가족과 함께 할 때, 혼자서 울고 싶을 때, 사랑하는 연인과 로맨스를 한껏 더 즐기고 싶을 때, 당신은 어떤 영화를 선택하나요? 많은 영화들 속에서 결정을 내리기 어려운 당신에게 무비레시피가 영화를 추천, 요리합니다.   

영상과 스토리를 통해 시대를 재조명하는 영화감독. 그 중에서도 현재와 과거를 잇는 절묘한 내러티브를 작품 속에 구현하는 시대극 연출의 대가로 불리는 이준익 감독. 그가 영화 <자산어보>로 돌아왔다. 그에게는 수많은 작품이 있지만 이준익을 말 하면 빼 놓을 수 없는 특별한 작품이 있다. 대한민국 최초 1000만 사극 영화 <왕의 남자>다. 

<영화정보>       
왕의 남자(爾: King And The Clown, 2005)
드라마 // 2005.12.29 // 한국
감독 – 이준익
배우 – 감우성, 정진영, 강성연, 이준기

<조선 최초의 궁중광대극, 질투와 열망이 부른 피의 비극이 시작된다!>
조선시대 연산조. 남사당패의 광대 장생(감우성 분)은 힘있는 양반들에게 농락당하던 생활을 거부하고, 자신의 하나뿐인 친구이자 최고의 동료인 공길(이준기 분)과 보다 큰 놀이판을 찾아 한양으로 올라온다.
 
장생은 타고난 재주와 카리스마로 놀이패 무리를 이끌게 되고 공길과 함께 연산(정진영 분)과 그의 애첩인 녹수(강성연 분)를 풍자하는 놀이판을 벌여 한양의 명물이 된다. 그렇게 공연은 대성공을 이루지만, 그들은 왕을 희롱한 죄로 의금부로 끌려간다.

의금부에서 문초에 시달리던 장생은 특유의 당당함을 발휘해 왕을 웃겨 보이겠다고 호언장담하지만 막상 왕 앞에서 공연을 시작하자 모든 광대들이 얼어붙는다. 장생 역시 극도의 긴장감 속에서 왕을 웃기기 위해 갖은 노력을 하지만 왕은 꿈쩍도 하지 않고...

바로 그 때 얌전하기만 한 공길이 기지를 발휘해 특유의 앙칼진 연기를 선보이자 왕은 못 참겠다는 듯이 크게 웃어버린다. 이들의 공연에 흡족한 왕은 궁 내에 광대들의 거처, 희락원(喜樂園)을 마련해 준다. 궁에 들어온 광대들은 신바람이 나서 탐관오리의 비리를 풍자하는 공연을 선보이고, 왕은 즐거워한다.
 
하지만 중신들의 분위기가 싸늘함을 감지한 왕이 중신 중 한 명을 웃지 않는다며 탐관오리라는 명목으로 형벌을 내리고 연회장엔 긴장감이 감돈다. 연이은 연회에서 광대들은 여인들의 암투로 인해 왕이 후궁에게 사약을 내리는 경극을 연기하고, 연산은 같은 이유로 왕에게 사약을 받았던 생모 폐비 윤씨를 상기하며 진노하여 그 자리에서 선왕의 여자들을 칼로 베어 죽게 한다.

공연을 할 때마다 궁이 피바다로 변하자, 흥을 잃은 장생은 궁을 떠나겠다고 하지만 공길은 알 수 없는 이유로 남겠다고 한다. 그 사이 왕에 반발한 중신들은 광대를 쫓기 위한 음모를 꾸미고 왕의 관심을 광대에게 빼앗겼다는 질투심에 휩싸인 녹수 역시 은밀한 계략을 꾸민다.

<하고 싶은 이야기>   
- 매력적인 배우들의 향연 

신인 이준기의 발견이라는 찬사를 받은 영화. 섬세한 감정라인과 변화를 보여줘야하는 공길이라는 역을 완벽하게 소화한 이준기는 영화가 개봉한 후 각종 찬사를 받았다. 연기를 잘 하는 것을 넘어 캐릭터에 젖어있다는 생각까지 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물론 이준기라는 배우 외에도 감우성, 정진영, 강성영 등의 배우들은 마치 그 시대의 하나가 된 것과 같은 모습을 보여준다. 매력적임을 넘어 극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게 만드는 배우들이다. 

- 爾(너 이)
영화 제목에 있는 한자 爾(너 이). 영화는 爾(너 이)라는 연극을 원작으로 한 작품으로 많은 찬사를 받았다. 조선시대에 ‘이’는 왕의 신하를 칭하는 말로 ‘이’가 된다는 것은 그만큼 왕에게 신뢰를 받고 신하가 된다는 의미다. 즉 영화 <왕의 남자>에서는 광대 출신 ‘공길’이가 이가 되어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에 우리는 ‘동성애’라는 것을 넘어 왕과 공길이가 느끼는 연민과 공감대, 사랑과 우정 그 이상을 살펴볼 수 있다. 영화 <왕의 남자>는 볼수록 ‘이’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영화다. 

신인이었던 배우 이준기를 알리고, 여러 가지 의미를 보여준 영화 <왕의 남자>. 당시 영화는 동성애를 거론하며 논란과 이슈가 되었지만, 영화를 제대로 살펴본다면 ‘왕의 남자’가 갖는 진짜 의미를 찾게 될지도 모른다. 한 평생 살아가며 왕처럼 살아서 뭐하리오, 권력을 가져서 뭐하리오. 어쩌면 영화는 광대처럼 한바탕 신나게 놀다가 돌아가는 삶이 우리가 원하는 삶임을 보여주는 것일지도 모른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