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박진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가 우리의 삶에 너무 깊이 들어와 버렸다. 생활패턴과 삶이 달라지고 수많은 사람들의 일자리가 없어져 버렸다. 

특히 코로나19 재확산이 절정을 이뤘던 9월에 헬스케어, 미용, 여가 등 서비스 업종을 중심으로 일자리 83만개가 사라진 것으로 분석됐다. 쉽게 말 해 생활에 반드시 필요한 필수적 요소가 아닌 서비스업의 일자리가 상당히 많이 사라진 것이다. 

문제는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던 제조업에서마저 일자리가 사라지기 시작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이종관 연구위원은 21일 '코로나19 고용 충격의 양상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산한 명동의 모습
한산한 명동의 모습

이 연구위원은 코로나19로 사라진 일자리 수가 4월과 9월에 각각 108만개, 83만개에 달한다고 추정했다. 4월과 9월이 의미 있는 이유는 4월은 코로나 첫 확산, 9월은 코로나 재확산의 절정기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위원은 코로나19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 예상되는 취업자 수 추이를 추정해보고 이를 실측치와 비교해 증감 추이를 산출했는데, 일례로 9월에 일자리 83만개가 줄었다는 것은 코로나19가 없었을 경우 추정해본 취업자 수와 실제 9월 취업자 수를 비교해보니 83만개가 부족하다는 의미다.

특히 5월의 경우 사라진 전체 일자리 92만개 중 지역서비스 일자리가 84만개로 91%에 달했다.

지역서비스업은 도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교육서비스업, 보건업 등을 의미한다. 이 중에서도 코로나19 확산 기간에 일자리가 많이 줄어든 업종은 헬스케어, 미용, 여가, 교육, 여행 등이다. 국민들이 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생활에 덜 필수적인 서비스 업종에 대한 소비를 더 줄였다는 의미로 풀이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연구위원은 비교적 안정적이라고 평가받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교역산업에도 고용 충격이 점차 발생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제조업에서 지난 2월부터 9월까지 모두 16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진 것으로 추정되는 상황. 

통상 교역산업에서 일자리 증가는 지역서비스업에 대한 수요 확대로 이어져 추가적인 일자리를 창출하는 효과를 낸다. 일례로 교역산업의 근로자가 늘어나면서 교육, 미용, 의료 등 지역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창출해 관련 서비스업 일자리가 연계되어 늘어나는 식이다. 때문에 고용을 유지하는 것이 지금의 상황에서 가장 우선순위가 되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교역산업에서는 일자리가 일단 사라지면 단기간에 다시 생기기 어렵고, 지역서비스업에 2차 고용 충격을 주므로 이들에 대한 고용 유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것. 

코로나19의 충격은 전 세계가 동시에 겪고 있다. 따라서 국내의 상황으로만 견디기에는 쉽지 않다. 또한 올해 안에 백신 치료제가 나온다고 하더라도 상용화가 되기 위한 절대적인 물리적 시간이 필요하고 그것이 우리 삶을 예전처럼 다시 돌려놓기에는 상당한 기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말 하고 있다. 코로나19가 변화시킨 우리의 삶. 힘들지만 모두가 공생의 힘으로 견디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고용유지와 모두의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