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김아련] 도시 생활에 지친 사람들 중에 인생 2막을 위해 농촌으로 귀농, 귀촌을 꿈꾸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모든 귀농인이 농촌에서 귀농 사업에 성공하지는 못하고 100명 중에 7명 정도는 다시 도시로 되돌아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여러 지자체에서 안정적인 농촌정착을 도모하기 위해 귀농·귀촌 관련 사업들을 진행하고 있다. 그중 ‘귀농인의 집’ 사업은 주거 공간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자체에 따라 운영방법과 신청방법이 조금씩 다르다.

입주대상자 요건을 살펴보면 예비 귀농·귀촌인으로 향후 귀농인의 집에 거주하면서 주택과 농지를 확보한 후 현지에 정착하고자 하는 자는 누구나 가능하다. 선정 우선순위에는 가족 수, 귀농교육 이수자, 농지 확보여부 등을 평가한다.

출처 - pixabay
출처 - pixabay

귀농인의 집 사업은 기존 마을 만들기 사업과 연계 추진하여 귀농·귀촌인을 위한 거점 마을로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귀농·귀촌 희망자가 거주지나 영농기반 마련 시까지 임시로 거주할 수 있는 집을 저렴하게 제공한다.

입주자는 월 10만원~20만원 또는 일 1~2만원 임차비용을 지급한다. 소정의 임차비를 내면서 최소 3개월, 최대 1년까지 머물 수 있으며 각 지자체가 귀농인의 집을 공고하면 서류를 구비해 해당기관에 접수하면 된다. 

지자체에서 귀농인의 집 조성 시에는 개소당 3천만원을 정부가 건립 지원한다. 2017년부터는 이동식 조립 주택도 귀농인의 집 조성 대상에 포함해 마을 주택을 귀농인의 집으로 지정하고 임대운영방식을 도입했다. 

한편 처음 귀농하는 사람들의 경우 주변에서 집이나 토지 등을 바로 사지 말라는 말을 많이 한다. 그 일대에 어느 정도 머물러 봐야 좋은 집이나 땅을 보는 눈도 키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리 일정기간 거주해볼 수 있는 귀농인의 집이 각광받고 있다.

과거 농촌에는 소유주 대부분이 외지인이라 제대로 관리가 안 되는 빈집들이 애물단지로 전락하는 사례가 많았다. 그런데 농림축산식품부의 새로운 사업을 통해 빈집이 공원, 주차장 등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했다. 귀농인의 집도 농촌에 방치된 빈집을 새로 고쳐 귀농·귀촌인을 위한 터전으로 활용된 것이다.

이는 2019년 기준 전국에 307곳이 조성됐으며 올해 50곳을 추가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각 지방자치단체는 7년간 주택을 귀농인의 집으로 이용한 후 집주인에게 반납하게 된다. 귀농인의 집 운영 우수사례로 전북 정읍시가 대표적으로 꼽혔는데, 2013년부터 이 사업을 시작해 지금까지 19곳의 집을 리모델링했다. 

정읍시에서 가성비가 우수한 집을 제공한다는 입소문이 나면서 많은 사람들의 문의가 이어졌다. 이렇게 방치된 유휴공간을 리모델링해 필요한 사람들에게 주거 공간을 지원하는 ‘귀농인의 집’ 사업은 안정적인 농촌 정착은 물론 주변 환경 개선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