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미래통합당 김예지 의원 20일, 국회 소통관에서 평창올림픽 여자컬링 은메달 팀인 일명 ‘팀 킴’이 ‘故 최숙현 선수’와 본인들의 상황과 유사하다며 호소문 낭독 기자회견을 하였다.

김 의원은 먼저 지난 6월 26일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故 최숙현 선수’의 명복을 빌며 가족분들에게 심심한 위로를 전했다.

김 의원 또 “문체부 장관, 대한체육회장, 경북체육회장은 말로만 하는 발본색원이 아닌 직위 여하를 막론하고 죄가 있는 관계자는 모두 그에 합당한 엄중 징계로 다스려달라.”라고 말하며 “피해 선수들뿐만 아니라 모든 선수들이 마음 편히 운동에만 전념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도록 스포츠 인권과 보호시스템 개선을 강력히 촉구합니다.”라고 주장했다.

사진 출처 / 김예지 의원 SNS

김예지 의원 호소문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2018년 11월 9일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정기회에서 대한체육회와 합동으로 특정감사를 실시해 사실을 철저히 밝히고 엄중하게 처리하겠다는 ‘팀 킴 호소문 사태’에 대한 조치 계획을 밝혔습니다. 그리고 동 감사를 통해 여러 문제점들이 밝혀졌지만 제대로 된 처분과 후속관리 및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김예지 의원실)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문화체육관광부 특정감사에서 총 62건의 처분요구 중 경북체육회는 37건의 처분요구를 받았습니다. 경북체육회 A 부장은 수사의뢰, 사법조치 권고, 부정청탁에 대한 징계 등 8건의 처분요구를 받았지만 중징계 중 가장 가벼운 ‘정직 2개월’만 받았고 징계 후 체육진흥부 부장으로 복귀하여, 현재 피해자인 ‘팀 킴’을 가해자인 A부장이 다시 관리·감독하는 자리에 돌아온 것입니다.  

‘팀 킴 호소문’ 내용 중 “국가와 체육회가 운영하는 제도와 적합한 절차를 거쳤음에도 사건은 묵살되었으며, 본인들이 힘들어했던 상황처럼 ‘故 최숙현 선수’와 피해 선수들 역시 신고 후 개선은커녕 은폐, 축소, 묵인돼가는 현실에 많이 불안하고 상처를 받았을 것.”이라는 내용이 있습니다.

그리고 ‘팀 킴’ 선수들은 팀 해산에 대한 불안감, 관련자의 사건무마 정황, 관리·감독을 해야 하는 경북체육회의 무책임과 모르쇠로 일관하는 상황이 ‘철인3종 폭행·폭언 사건’과 매우 유사하다고도 했습니다.

1년 8개월 전 ‘팀 킴 사태’ 1년 6개월 전 ‘빙상계 폭력·성폭력 사건’ 등 우리나라 체육계를 떠들썩하게 했던 사건들이 있었지만 아직까지도 달라진 게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팀 킴’의 호소 때와 마찬가지로 문체부, 대한체육회를 비롯한 관련 체육단체들은 ‘철인3종경기 선수 가혹행위’ 청문회에서 관련자 엄중 징계와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할 것입니다. 하지만 ‘팀 킴’ 피해 선수들은 바뀌지 않을 거라고 말합니다.

선수들은 경북체육회 김하영 회장에게 1년 8개월이 지난 현재 ‘팀킴 호수문 사태’ 이후 근본적으로 변한 것이 없어 걱정과 불안의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얘기하며, “선수들의 희생과 성과는 잔인할 만큼 중요시되지만 관리자의 책임은 너무나도 관대한 것이 현실이다.”라며 “관리 책임을 맡는 부서의 직원에 대한 조치가 분명히 루어지고 선수 인권이 보장되어야 한다.”라고 얘기하였습니다.

선수들의 부모님은 “경북체육회 비리가 보이는데도 가해자인 A부장은 경북체육회의 실세이며 실권자처럼 행동하고, 징계 후 다시 돌아오는데 아이들이 어찌 훈련을 편하게 하겠느냐?”라고 얘기했으며, 지도자는 “‘김경두 일가’의 친인척으로 의심되는 인물이 여러 게시판에 경북컬링팀에 대한 민원 글로 도배를 하고 있으며, ‘김경두 일가’의 지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북컬링협회는 경북체육회에 본인들의 업무는 하지 않고 경기장에 들러본적도 없으면서 경북컬링팀에 대한 보복성 민원을 넣고 있다.”라고 얘기하였습니다.  

체육계는 성폭력 및 폭언 등의 피해자를 위한 여러 신고, 보호시스템이 있지만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있는 무용지물입니다. 그렇기에 그 시스템이 본인들을 보호해 줄 것이라 믿는 선수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이번 ‘철인3종경기 선수 가혹행위 사건’이 그 반증인 것입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