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심재민 / 디자인 김동운] 다양한 분야에 있어 여러모로 위기를 만들고 있는 ‘코로나19’. 하지만 다가 올 위기를 가만히 앉아 정통으로 맞을 수는 없다. 아니 오히려 이번 위기를 기회로 극복할 수 있다면 우리는 더욱 탄탄한 보건 및 경제적 기반을 다질 수 있다. 이러한 건설적인 희망을 바탕으로 정부는 다양한 신(新) 정책을 펼치고 있다. 특히 포스트 코로나라는 슬로건을 내걸며 다양한 신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그 중에 하나 ‘디지털 뉴딜’이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디지털 뉴딜은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그 개념을 거론하며 적극 추진에 힘을 싣고 있다. 문 정부가 구상하는 디지털 뉴딜의 정의는 디지털 경제 기반을 만들어 마치 ‘데이터 댐’을 만드는 것이다. 댐을 건설해서 물을 모은 뒤 여러 용도로 사용하듯 수많은 부가산업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과정을 데이터에 접목해 디지털 경제 시대의 새로운 '뉴딜'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지난 18일 문 대통령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경제 위기를 극복하는 것을 물론 새로운 경제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을 양축으로 하는 한국판 뉴딜을 제시했고, 이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다.

문 대통령은 특히 디지털 뉴딜에 초점을 맞췄다. 디지털 뉴딜은 말 그대로 디지털 기술 및 기반을 이용해 침체된 경기를 되살리는 정책을 말한다. 여기서 뉴딜이란, 미국 제32대 대통령 루즈벨트가 대공황으로 침체된 미국 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해 추진한 정책 이름이었다. 

이러한 디지털 뉴딜의 효과로 인공지능 발전, 산업단지 스마트화, 혁신산업 및 비대면 서비스 창출 등이 거론되고 있는데, 이를 토대로 코로나19로 침체된 국내 경기를 살리면서 동시에 한국이 선도하는 글로벌 경제로 나아가는 기반을 다지겠다는 목표다.

문 대통령은 디지털 뉴딜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주안점을 둘 몇 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많은 데이터를 기업이 사용하도록 개방되어야 한다는 점, 그리고 개방의 과정에서 개인정보가 침해되는 일이 없도록 철저하게 비식별 데이터를 만들어내는 게 필요하다는 점이다. 여기에 더해 디지털 뉴딜에만 집중하기보다, 이것이 자칫 기존 산업의 일자리를 없앨 수 있으므로 기존 종사자들을 새로운 일자리로 옮기는 사업을 국가적으로 병행해야 한다는 것 역시 주안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러한 방침 속에 정부가 '디지털 뉴딜'의 핵심으로 꼽히는 '데이터 댐'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지난 2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공지능(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사업의 20개 과제를 확정했다고 22일 밝혔다. 올해 과제 수는 작년보다 2배 늘어나 예산도 2배 늘어난 390억원 규모(작년 195억원)다.

선정된 대표 과제는 한국데이터거래소(KDX)의 '대용량 동영상 콘텐츠 AI데이터(동영상 내 객체 탐지, 상황 이해, 행동 분석을 위한 데이터)', 국립암센터의 '질병진단 이미지 AI데이터(유방암 및 부비동 질환의 진단을 위한 의료 영상 이미지 데이터)' 등이다. 이외에 과기부는 공모에 참여한 92개 사업자 중 자연어 처리 분야, 자율주행기술 분야, 음성·시각·언어 융합 분야와 헬스케어 분야, 딥페이크 방지 기술 분야 등 산업적 활용 가치가 높고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분야에서 과제를 선정했다.

이중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사업은 앞서 문재인 대통령이 제시한 '한국판 뉴딜' 중 디지털 뉴딜의 핵심 사업으로 꼽힌다. AI 학습용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공하는 데 많은 인력이 필요한 만큼, 정부는 모든 과제에 전면적으로 '크라우드 소싱(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데이터 수집 및 가공에 참여)' 방식을 적용해 일자리를 만든다는 구상이다. 과기부는 올해 3차 추경을 통해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사업을 대규모로 확대할 예정이다.

한편 정부가 추진하는 디지털 뉴딜에 대한 우려도 있다. 바로 디지털 격차가 훨씬 심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때문에 신속한 정책의 추진과 함께 디지털 격차를 줄여 포용적 디지털 경제를 만들어내는 것도 디지털 뉴딜에 있어 중대 과제이다. 정부가 규제혁신에 속도를 냄과 동시에 디지털 경제와 기존 산업과의 조화·상생 노력도 기울여야 할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