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 증가로 병상 부족 상황이 악화되자 치료체계를 변경하기로 했다.

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다음과 같은 코로나19 치료체계 재구축 방안을 밝혔다.

기존에는 모든 환자가 입원 치료 대상이었지만 앞으로는 경증보다 상태가 안 좋은 '중등도' 이상 환자들이 입원 치료를 받는다. 경증환자는 지역에 설치·운영되는 생활치료센터에서 치료를 받게 된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사진=연합뉴스 제공)

현재 생활치료센터 의료관리에 참여하기로 한 병원들은 어느 정도 확보됐다. 서울대학병원, 신촌세브란스병원,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성모병원 등이 참여하기로 했다.

하루 수백명씩 환자가 증가하면서 대구 지역 등에서 병상 부족을 겪고 있는 데 따른 조치다. 바뀐 치료체계는 코로나19 대응지침 7판에 반영됐다.

새로운 치료체계에서는 시도별 환자관리반이 환자 중증도를 경증·중등도·중증·최중증 4단계로 분류한다.

퇴원 기준도 변경됐다.의료기관에 입원했어도 증상이 호전되면 우선 퇴원하고, 치료 담당 의사와 환자관리반 판단에 따라 생활치료센터 또는 자가요양조치를 취하게 된다.

기존에는 24시간 간격으로 시행된 바이러스 검사에서 2회 연속 음성이 나와야 하는 격리해제 기준을 충족한 이후 퇴원을 결정했지만, 앞으로는 증상이 완화하면 퇴원 후 생활치료센터에서 격리해제 여부를 지켜본다는 것이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 본부장은 "입원치료가 필요한 환자는 적절한 전담병원에 입원치료하고, 경증환자는 전파차단을 목적으로 생활치료센터에서 생활하면서 의학적인 모니터링과 치료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생활치료센터는 시도별로 선정되며, 인근 의료기관 등과 의료지원체계를 구축한 형태로 운영된다. 대구시에서 2일부터 교육부 중앙교육연수원이 생활치료센터로 운영된다. 경북대 병원에서 의료관리를 담당하게 된다.

박능후 중대본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생활치료센터는 기본적으로 1인 1실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며 "우한 교민들을 격리했던 시설과는 달리 확진환자들이 (머물기) 때문에 교차 감염 위험은 분명히 있지만, 최대로 방역을 해나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구 지역은 1~2개 시설로는 부족할 것 같아 대구 인근에서도 몇 개 지역을 찾고 있다"며 "(대구뿐 아니라) 전국 지자체에도 생활치료센터를 만들도록 요청한 상태"라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