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박진아] 중국은 외부와의 정보가 차단된 나라라고 말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중국 여행을 한 번쯤 해본 사람이라면 한국의 흔한 포털사이트 조차 쉽게 열리지 않고 검색이 쉽게 되지 않음을 경험할 수 있다. 의도적이든 비의도적이든 그 어떤 나라에 비해 정보의 자유가 자유롭지 못한 것은 사실이다.

홍콩의 ‘범죄인 인도 법안’에 관련한 사위가 갈수록 증폭되고 있고, 이러한 영향이 많은 사람들에게도 끼치고 있다.

최근 송환법 반대 시위를 소셜미디어에 올린 중국 인권변호사가 실종됐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2일 보도했다.

SCMP에 따르면 지난주 홍콩으로 온 중국 인권변호사 첸추스(33)는 18일 홍콩 빅토리아 공원에서 시민 170만 명이 참여해 열린 송환법 반대 시위 영상을 여러 건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에 올렸다.

지난 2014년 중국 TV 토론 대회에 나가 준우승을 차지하기도 한 첸추스는 사회문제에 관한 발언을 웨이보에 정기적으로 올려 팔로워 77만 명을 거느리고 있는 유명인 중 한 명이다.

연합뉴스 제공
연합뉴스 제공

하지만 그는 지난 20일 중국 베이징으로 돌아간 뒤 연락이 끊긴 상태이며, 현재 그가 올린 홍콩 시위 영상도 웨이보에서 삭제된 상태다.

첸추스는 20일 저녁 홍콩국제공항에서 마지막으로 올린 영상에서 "나는 지금 모두에게 내 변호사 자격증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내가 돌아간 뒤에 더는 변호사가 아닐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중국 공안과 변호사협회의 압력으로 홍콩 여행을 중단하고 중국으로 돌아가게 됐다고도 밝혔다.

그는 "나는 변호사가 되기 위해 3년 동안 공부했다"며 "누군가 내게 (홍콩에서의) 3일이 그 3년간의 노력을 무너뜨릴 가치가 있느냐고 묻는다면 아니라고 답하겠지만, 나는 내 행동의 결과를 책임질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어 첸추스는 중국 관영 매체의 홍콩 시위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어 실제로 일어나는 일을 직접 보기 위해 홍콩으로 왔다고 밝혔다.

국제앰네스티 홍콩 지부의 도리안 라우는 "첸추스가 공개적으로 홍콩 시위를 지지하지는 않았지만, 중국 본토인들이 홍콩 시위에 참여한 후 돌아갔다가 괴롭힘을 당하거나 끌려간 사례들이 있다"고 말했다.

인권단체에서 일하는 왕야추는 "중국 정부는 인권변호사들을 침묵시키기 위해 그들의 변호사 자격을 박탈하는 수법을 지속해서 사용해 왔다"며 "특히 2015년 '709 검거' 후 이를 체계적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709 검거'는 중국 당국이 2015년 7월 9일 300여 명에 달하는 인권운동가들을 대거 체포한 사건을 말한다. 홍콩의 시위로 인한 사건의 여파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중국의 비민주적인 행동역시 어떻게 이어질지 지켜봐야 할 일이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