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김아련 / 디자인 이연선] 지난 2011년 3월 11일 일본 동북부 지방을 관통한 대규모의 지진과 쓰나미로 인해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의 방사능이 유출되는 사고가 일어났다. 콘크리트외벽 폭발과 사용 후 핵연료 저장시설 화재로 방사성물질이 유출되었고 그 오염물질들이 바다로 유입되어 인근 주민들뿐만 아니라 방사성 물질이 편서풍을 타고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미국, 유럽, 중국, 우리나라까지 흘러들어왔다. 8년이 지난 지금 아직까지도 논란이 되고 있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인한 방사능에 대해 알아보자.  

■ 도쿄 토양 방사능 수치
→ 토양 시료 15개 중 4개에서 방사능 물질 1㎡당 4만베크렐(4만Bq/㎡) 이상 검출 (Hotspot Investigators for Truth/HIT자료)
→ 4개 중 한 곳 방사능 물질 최대 7만7000Bq, 기준치 약 2배
→ 사고 직후 2011년 9월 세슘 430Bq/kg 검출 (도쿄도 건강안전연구센터)
→ 2015년 세슘 500Bq/kg 검출 (도쿄도 건강안전연구센터)
→ 2017년 세슘 160Bq/kg 검출 (도쿄도 건강안전연구센터): 서울 토양의 약 65배 세슘 발견

■ 후쿠시마 원전 사고 피해
→ 소아 갑상선암 발병 환자 급증
→ 방사성 요오드로 인한 암 발병 환자 증가
→ 대량의 삼중수소 오염수 생성
→ 방사능으로 인한 수산물, 농산물 오염 심각

■ 일본의 방사성 물질 기준치 (Bq/kg) (2012년 4월 1일~)
→ 일반식품: 100
→ 유아용식품: 50
→ 우유: 50
→ 음료수: 10

■ 일본 방사성 오염수 방류가 미치는 영향
→ 방사능 오염수 100만t 방류 계획 (그린피스 주장)
→ 매주 오염수 2000t 이상 생성
→ 오염수 정화 처리 물에서 방사능 물질 기준치 최대 2만 배 검출
→ 태평양에 방류할 경우 한국이 가장 피해

■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한국의 대응
→ 일본 관광·식품·폐기물 등의 분야에서 안전 조치 강화
→ 후쿠시마현을 포함한 8개현의 수산물 수입 금지
→ 후쿠시마 원전 처리수 해양 방출에 대해 투명한 정보 공유 요구
→ 일본산 석탄재 방사능 검사 강화

■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일본의 주장
→ 아베 “방사능 오염수 통제되고 있다”
→ 일본 정부 “2020 도쿄올림픽 때 후쿠시마 지역 포함한 재해지 농수산물을 올림픽 선수촌에 제공해 안전성을 입증하겠다”
→ 후쿠시마, 이와테, 미야기 3개현의 해수욕장 중 약 40% 정도 재개장
→ 방사능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왔다고 주장

■ 일본 방사능에 대한 환경단체 그린피스 보고서
→ 후쿠시마 다이치 원전 1~4호기에 고준위 방사성 오염수 111만t 보관
→ 방사성 오염수 매주 2000~4000t씩 증가
→ 태평양 연안 국가 방사능 오염 위험
→ 한국 방사능 노출 위험성 증가

현재 일본은 후쿠시마 원전 안에 남은 핵연료를 식히기 위해 물을 계속 투입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하루 평균 생겨나는 오염수가 170t에 이른다. 오염수를 정화해도 일부 방사성 물질은 여전히 남아있기 때문에 오염수를 물탱크에 보관 중인 것이다. 그러나 이 물탱크가 3년 뒤에는 모두 다 차기 때문에 오염수를 태평양으로 방류할 것이라는 그린피스의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렇게 될 경우 한국도 방사능 노출의 위험에서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일본 정부의 신속한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