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 이상 약물을 동시에 처방받은 노인은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사망 위험이 25% 높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2012년 65세 이상이고, 1년 동안 약물 처방이 270일 이상이며, 입원이 없는 300만7천620명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은 먼저 5개 이상의 약물을 동시에 처방(다제약물)받은 노인의 현황을 파악하고, 다제약물 처방이 입원 및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출처_pixnio]
[출처_pixnio]

그 결과 대상자 중 5개 이상의 다제약물을 처방받은 사람은 46.6%였다. 이들은 4개 이하의 약물을 처방받은 사람보다 처방받은 약물에 노인이나 특정 질환이 동반될 경우 피해야 할 약물 등이 포함되는 '부적절 처방률'이 32.2%포인트 더 높았다.

또 연구팀이 대상자를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 동안 추적한 결과, 다제약물 처방 그룹은 대조군(4개 이하 약물 처방 그룹)보다 입원 및 사망 위험이 각각 18%, 25% 더 높았다.

또 처방 약물 개수가 증가할수록 입원, 사망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1개 이상 약물을 복용한 그룹은 2개 이하 복용그룹보다 입원 및 사망위험이 각각 45%, 54%까지 증가했다.

강청희 건보공단 급여상임이사는 "노인환자에서 빈번한 다제약물 복용은 부적절 약물사용 빈도를 높이고, 결과적으로 입원 및 사망 위험 증가시킨다"고 말했다.

문제는 동시에 여러 약물을 복용하는 노인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당뇨병 등 1개 이상의 질환이 있고 10개 이상의 약물을 복용하는 사람은 지난해 기준 95만 명을 넘어선 상태다. 고령화 추세를 고려하면 앞으로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건보공단은 약사 등 전문가가 대상자를 방문해 약물 이용 상태 점검하고, 약물 이용 개선을 위해 3개월간 상담을 제공하는 '올바른 약물이용지원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