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박진아] 인류 최초로 달을 밟은 아폴로11호 선장 닐 암스트롱. 그는 달착륙선 '이글'을 타고 자동비행으로 하강하다 막판에 수동비행으로 전환한다.

약 4분의 비행 오차로 원래 착륙지점을 수 킬로미터 지나친 이글호. 당시 창밖으로 펼쳐진 예상 착륙지점은 큰 바위들이 널려있는 위험한 곳이었고, 비교적 평평한 곳을 찾아 착륙하기 위한 긴급 조치로 암스트롱은 수동비행으로 전환한 것이었다.

이글호 안의 비디오카메라는 함께 타고 있던 달착륙선(LM) 조종사 버즈 올드린이 앉은 창 쪽에만 설치돼 있어 직접 조종을 한 암스트롱 선장이 실제로 무엇을 보고 수동비행 결정을 내렸는지는 기록하지 못했다.

NASAGSFCArizona State University 제공
NASAGSFCArizona State University 제공

그의 달 착륙기는 지금까지도 마치 전설처럼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그런데 최근 애리조나주립대학 지구우주탐사학부 마크 로빈슨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을 통해 우리는 전설이 아닌 실제의 모습을 보는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게 됐다. 연구팀은 달 착륙 50주년을 맞아 착륙 당시 이글호의 교신 내용과 비디오 기록, 달정찰궤도위성카메라(LROC)로 10년간 찍은 이미지 등을 활용해 암스트롱 선장 쪽 창을 통해 본 최초의 달착륙 장면을 재구성해 공개했기 때문이다.

LROC 연구책임자이기도 한 로빈슨 교수는 착륙선의 위도와 경도, 방향, 속도, 고도 등의 정보를 종합해 마지막 3분을 재현함으로써 암스트롱 선장이 창밖으로 무엇을 보고 수동비행 결정을 내렸는지 짐작할 수 있게 했다.

영상은 이글호가 자동비행을 계속했을 때 착륙하게 될 '웨스트 크레이터(West Crater)'의 큰 바위들이 널려있는 동북쪽 측면부터 시작된다. 암스트롱 선장은 이를 보고 수동비행으로 전환해 수평비행을 유지하며 안전하게 착륙할 곳을 찾은 것이다. 이런 위험은 올드린이 앉은 자리에서는 볼 수 없었으며, 암스트롱 선장만 파악할 수 있었다고 한다.

당시 암스트롱 선장은 새 착륙지점을 찾아 이글호를 조정하느라 교신을 거의 하지 못했으며, 올드린이 고도, 하강 속도, 방향 등 기기 수치를 읽어주는 정도로만 교신이 오갔다.

이후 암스트롱 선장은 약 190m에 달하는 웨스트 크레이터를 지나간 뒤 약 500m 앞에서 안전한 곳을 찾아 이글호를 안착시켰다. 착륙 지점 바로 전에는 약 40m 폭의 '리틀 웨스트 크레이터'가 있었으며 암스트롱은 달에 역사적인 첫발을 디딘 뒤 이곳을 찾아 사진 촬영을 하는 등의 '선외활동(extravehicular activity)'을 했다.

LORC 이미지는 이글호가 달에 착륙한 뒤 거의 50년 만에 촬영한 것으로, 로빈슨 교수팀이 이를 토대로 재구성한 영상에는 이글호의 흔적이 그대로 남아있다. 놀라운 것은 이글호가 지구 귀환을 위해 사령선으로 이륙할 때 남긴 흔적과 함께 암스트롱과 올드린이 걸어 다니며 남긴 발자국도 검은 실가닥처럼 보인다는 것.

전설처럼 여겨졌던 닐 암스트롱의 달 착륙기. 그의 긴박했던 착륙 순간과 순발력을 이용한 모습들 모두 50년이 지난 지금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경이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앞으로의 달 탐구를 포함한 우주 연구에 큰 거름이 될 것으로 보인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