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이호] 지난 3일 한국천문연구원(천문연)은 권우진 박사를 포함한 국제 연구팀이 지구로부터 1천 광년가량 떨어진 분자운에서 아기별을 관측했다고 밝혔다. 또한 주변 자기장 속에서도 원반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별은 분자운 속의 밀도가 큰 지역의 중력 영향으로 급격하게 수축하면서 생성이 된다. 이렇게 중력 수축으로 형성된 아기별(protostar)은 외부 힘이 없을 경우 전체 각운동량이 항상 일정한 값을 보이는 ‘각운동량보존 법칙’에 의해 빠르게 회전한다.

이렇게 빠르게 도는 아기별 주위로는 가스와 먼지가 유입되는데 이것이 모이면 원반의 모양이 나타나게 된다. 

하지만 자기장이 아기별 구조체(protostellar system) 회전축과 나란하거나 그 크기가 강하면 자기장에 의한 제동 효과가 발생하게 되고 이것이 너무 강해지면 원반이 형성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연구팀은 세계 최대 규모의 아타카마 밀리미터·서브밀리미터 전파간섭계(ALMA)를 이용해 1천 광년 가량 떨어져 잇는 페르세우스 분자운에 속해 있는 'L1448 IRS 2' 초기 아기별을 확인할 수 있었다. 

L1448 IRS 2는 자기장이 회전축에 나란하기 때문에 중심 원반이 형성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기별이었다. 

L1448 IRS 2의 전파 관측 결과 왼쪽은 카르마(CARMA) 전파간섭계로 관측한 기존 연구 결과이고, 오른쪽은 알마(ALMA) 전파간섭계 관측 결과인데, 자기장 형태까지 알 수 있을 만큼 해상도가 높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L1448 IRS 2의 전파 관측 결과 왼쪽은 카르마(CARMA) 전파간섭계로 측정한 기존의 관측 결과. 오른쪽은 알마(ALMA) 전파간섭계 관측 결과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하지만 해상도를 높여 살펴 보니 L1448 IRS 2 중심부의 자기장이 회전축과 수직 방향으로 돼 있다는 점이 새롭게 밝혀졌다. 이는 세기가 강한 자기장 속에서도 아기별 초기에 원반이 형성된다는 것을 뜻한다. 

권우진 박사는 "자기장이 아기별 원반 형성과 진화에 미치는 영향을 들여다보는 것은 행성계 기원을 밝히는 데 중요한 과제"라며 "아기별로 유입되는 물질 흐름과 자기장 사이에 존재하는 영향을 자세히 살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칠레 아타카마 사막 해발 고도 5천m에 있는 전파망원경 66대로 구성된 전파간섭계 ALMA를 통해 가능하게 됐으며 동아시아·북미·유럽연합 컨소시엄과 칠레 등이 참여해 함께 건설했다. 

우리나라 역시 2014년부터 ALMA 운영에 참여했다. 

최근 지구위협천체 발견 등 우리나라의 우주 과학 참여도가 높아지고 있다. 한정된 지구를 넘어 우주 발전에 발을 걸쳐 놓는다는 것은 미래를 위해서 매우 중요한 과정이 아닐 수 없다. 더 많은 성과들이 우리 과학자들에게서 나올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