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박진아]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으로 서서히 발병하여 기억력을 포함한 인지기능의 악화가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병인 ‘알츠하이머’. 

알츠하이머 치매는 노인성 치매의 약 70%를 차지한다. 이 질환은 뇌에 '베타 아밀로이드'라는 단백질이 쌓이면서 신경세포(뉴런)가 손상돼 발병한다고 알려졌는데, 최근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 치매에 대한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내놔 주목된다.

이 연구가 실용화 되고 치료에 적극적인 효과가 있다면 앞으로 의학계에 큰 변화가 불러올 것으로 보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묵인희 서울대 의대 교수팀은 세포 및 동물 실험을 통해 알츠하이머 치매와 관련된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을 줄일 수 있는 새 방법을 찾았다고 28일 밝혔다. 

뇌 면역세포인 '미세아교세포'는 뇌 속에 쌓인 베타 아밀로이드를 분해해 없앨 수 있다. 연구진은 이 연구에서 미세아교세포가 베타 아밀로이드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엔 분해 기능을 잃어버리는 것을 확인했다.

이어  이런 베타 아밀로이드 분해 기능 상실은 세포의 에너지 생산 기능과 관련돼 있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세포의 대사 과정이 손상되면서 세포 기능의 전체적인 저하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배양접시 속 세포뿐 아니라 알츠하이머를 앓는 쥐의 뇌 속 미세아교세포에서도 이런 현상이 관찰됐다.

연구진이 세운 가설은 이렇다. 미세아교세포의 에너지 생산을 높이면 다시 베타 아밀로이드 분해 능력을 회복할 수 있다는 것. 알츠하이머를 앓는 쥐에 대사를 촉진하는 '감마인터페론'을 주입하자, 미세아교세포의 기능이 회복됐고 면역기능도 다시 나타났다.

그 결과 쥐 뇌 속에 쌓인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양도 줄었고 쥐의 인지 능력도 회복됐다. 미세아교세포의 대사 촉진이 신경퇴행성 질환의 새 치료적 전략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한 셈이다.

즉 보다 깊은 연구를 통해 가능성을 확인한다면 인간의 알츠하이머 치료에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 

이에 묵인희 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신경세포가 아니라 뇌 면역세포를 조절해 뇌 환경을 정상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며 "앞으로 알츠하이머 극복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 결과는 이날 국제학술지 '셀 메타볼리즘'(Cell Metabolism)에 실렸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