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이호 / 디자인 이연선] 지난 11일 산업통상자원부와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위원장 김정훈 홍익대 교수)는 정부세종청사에서 5개월에 걸친 조사결과를 발표하면서 "배터리보호시스템 등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은 배터리제조사의 총괄책임이 있고 통합관리 미흡 등 SI(설계·시공) 업체의 책임도 있다"고 발표했다.

전국 23곳에서 잇따른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사고가 배터리제조회사를 비롯해 복합적으로 책임이 있다고 말한 것이다. 잇따른 화재로 인해 화제가 되고 있는 ESS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에너지 저장 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는 원하는 시간에 생산하기 어려운 태양광과 풍력발전 등으로 만든 전기를 저장해 놓았다가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이를 통해 전기요금이 가장 비싼 시간에 사용하여 경제적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천재지변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대규모 정전 상태에서도 전력을 공급하는 등 전기의 불규칙한 수요와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의 생산, 운반, 소비 과정에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여 공급자와 소비자가 서로 상호작용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인 지능형 전력망시스템인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시대에 필수적인 장치라 할 수 있다.

때문에 ESS의 설치 확대는 전 세계적인 트렌드가 되어가고 있어 일본은 2011년 도후쿠 대지진 이후 원자력 발전의 가동을 전면적으로 중단하는 한편, 전력 예비율을 높게 유지하고 비상 정전에 대비하기 위해 보조금 지원으로 ESS를 적극 지원하였다. 또한 가정용 ESS의 보급으로 전력 공급의 불안감을 잠재우는 데 효과를 보기도 하였고 이에 힘입어 주택에 10kW급 미만의 ESS를 빌트인(built-in) 방식으로 공급하기도 한다.

미국 역시 전력 계통형 대형 ESS와 주거용 ESS를 대상으로 다수의 실증 사업을 진행 중이며 특히 캘리포니아 주는 2010년 9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설치를 의무화하는 법안을 만들어 2024년까지1.3GW의 ESS를 설치 완료하기로 결정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는 2012년부터 2020년까지 세계시장 점유율 30%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지만 최근 발생하는 화제로 인해 전면 중단이 된 상태다.

이에 정부에서는 민관합동ESS화재사고원인조사위원을 발족시켜 조사를 벌였고 화재의 원인을 '전기적 충격에 대한 배터리 보호시스템 미흡, 운영환경 관리 미흡, 설치 부주의, ESS 통합제어·보호체계 미흡' 등 4가지 요인으로 보았다.

다만 정부와 조사위는 화재 발생의 결정적 원인과 책임자는 지목하지 않아 피해 보상 문제 등을 두고 에너지저장장치 핵심 구성품인 배터리 제조사와 기타 부품의 제조사, 설치·시공사와 운영사 간 책임 공방이 예상되고 있다.

미래에너지인 재생에너지의 필수 부품인 ESS. 배터리 강국인 우리나라가 선도적인 위치에 있는 만큼 완벽한 제품을 만들어 세계적인 위용을 떨칠 수 있도록 ‘지금’ 문제를 잘 해결해야 할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