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이호]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UC 버클리)은 이 대학의 천문학 교수 임케 데 파테르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이 ALMA/VLT에 잡힌 열 이미지를 이용해 천왕성 고리의 온도를 처음으로 측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학술지 '천문학저널(The Astronomical Journal)' 최신호에 실렸다. 

행성을 둘러싼 고리는 토성과 목성, 천왕성과 해왕성에 존재하고 있다. 이 중 천왕성 고리는 지금까지 모두 13개가 확인되었으나 가시광선이나 근적외선으로는 빛을 거의 반사하지 않아 대형 망원경으로나 관측할 수 있다. 이 고리들은 거의 보이지 않아 1977년 이후가 되어서야 그 존재가 알려지기도 했다. 

그러나 이 천왕성의 고리들이 칠레 아타카마 사막에 있는 전파망원경 배열인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서브밀리미터 집합체(ALMA)'와 광학망원경 '초거대망원경(VLT)'를 통해 선명하게 모습을 드러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심(深)우주 탐사선 보이저2호가 지난 1986년 천왕성 옆을 지나면서 고리를 관측했지만 온도를 재지는 못했다. 

ALMA로 포착한 천왕성의 대기 및 고리의 열 이미지 (UC 버클리/에드워드 몰터, 임케 데 파테르 제공)
ALMA로 포착한 천왕성의 대기 및 고리의 열 이미지 (UC 버클리/에드워드 몰터, 임케 데 파테르 제공)

연구팀은 ALMA와 VLT로 천왕성 대기의 온도 구조를 탐사하다가 고리의 열 이미지를 확보했는데 이번 열 이미지를 통해 천왕성 고리 중 가장 밝고 밀도가 높은 '엡실론(ε) 고리'가 토성을 비롯한 태양계 내 다른 고리와는 다르다는 점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토성의 경우 고리를 구성하는 성분이 1㎜의 1천분의 1인 미크론(μ) 크기의 먼지에서 수십미터에 달하는 바위까지 다양한 크기로 구성돼 있으나 엡실론 고리는 골프공 크기 이상의 바위로만 구성돼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처럼 엡실론 고리에서만 먼지 크기의 작은 입자가 없는 이유는 아직 밝혀낸 것이 없다. 또한 이 고리의 절대온도는 77K(켈빈)로 섭씨로는 영하 196.15에 이르는 극저온인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번 열 이미지가 천왕성 고리의 물질이 같은 데서 나온 것인지 아니면 고리마다 다른 것인지 등을 파악하고 고리의 구성성분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데 한 걸음 더 다가서게 하는 것으로 평가했다. 

다른 소행성과 충돌하거나 행성에 가깝게 접근했다가 중력에 붙잡혀 파괴된 위성의 파편 또는 45억년 전 태양계가 형성됐을 때의 잔해로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 고리에 대한 신비가 조금씩 풀릴 단서가 마련되어가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