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다운증후군에서 지적장애를 일으키는 요인 유전자(DSCR1)와 그 작동 원리를 세계 최초로 규명해 다운증후군 치료제 개발 가능성이 높아졌다.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울산과학기술원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다운증후군 원인 규명을 했다.(울산과학기술원 제공)

민경태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DSCR1이 조작된 쥐를 이용, 성체 신경발생(adult neurogenesis) 과정에서 중요한 후성 조절 인자(TET1 단백질과 miR-124) 발현에 DSCR1 단백질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11일 밝혔다.

성체 신경발생은 성인 뇌의 해마 지역에서 새로운 신경 세포가 생성되는 과정으로 지금까지 퇴행성 뇌 질환인 알츠하이머나 파킨슨을 비롯해 신경발달 관련 질병인 정신분열, 다운증후군 등에서 성체 신경발생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이들 질병과 성체 신경발생 간 병리학적 관계, 분자·세포학적 원리 등에 대한 이해는 미미한 편이었으나 민 교수팀은 학습과 기억 능력이 결핍된 다운증후군 쥐 모델에서 과발현한 DSCR1 수를 정상적으로 복원, 손상된 성체 신경발생과 학습·기억 장애를 회복하는 데 성공했다.

DSCR1 단백질에 의한 후성 조절 인자 발현이 해마 지역에서 일어나는 성체 신경발생의 작용 원리이며, 다운증후군에서 나타나는 성체 신경발생 장애의 핵심 원리라는 점을 확인한 것이다.

민 교수는 "성체 뇌에서 일어나는 해마 신경발생 과정을 조절하는 원리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제공할 것"이라면서 "이번 연구가 다운증후군 환자의 인지 능력 결핍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 개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분자생물학 분야 학술지인 '엠보 저널'(The EMBO Journal)에 게재됐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