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박진아] 현대인이 간과해서는 안 될 질병 중 하나인 치매. 치매 발병율이 높아지면서 예방 및 치료법에 대해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사실상 특별한 예방과 치료법이 없다고 알려진 질병이기에 더 주의가 필요하다. 

그런데 최근 치매 발병 위험을 낮추기 위한 방법이 제시되어 이목이 집중됐다. 치매 발병 위험을 낮추려면 평상시 몸속 총콜레스테롤 수치가 적정선을 유지하도록 신경 써야 한다는 것. 한 연구는 총콜레스테롤 수치의 변동성이 클수록 치매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고 한다. 

고대구로병원·한림대병원 내분비내과 공동 연구팀(최경묵, 백세현, 류혜진, 정혜수)은 2008∼2015년 사이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13만1천965명을 평균 8.4년 추적 관찰한 코호트(역학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콜레스테롤의 변동성과 치매 발병 위험 사이에 이런 연관성이 확인됐다고 4일 밝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프런티어 인 뉴롤로지'(Frontiers in Neurology) 5월호에 발표됐다.

연구결과를 보면 추적 기간 중 조사 대상자의 2.82%(3천722명)에서 치매가 발생했다. 치매를 종류별로 보면 알츠하이머병이 2.1%(2천776명), 혈관성치매가 0.37%(488명)였다.

알츠하이머병은 뇌 속에 과다하게 쌓인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대뇌 신경세포를 죽게 해 걸리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혈관성 치매는 고혈압, 동맥경화 등으로 뇌혈관이 손상돼 발생한다.

이에 연구팀은 총콜레스테롤의 변동성 정도에 따라 4개 그룹으로 나눠 치매 발병 위험도를 비교했다. 이 과정에서 치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위험요인은 배제했다.

그 결과 총콜레스테롤 변동성이 가장 큰 그룹(Q4)은 변동성이 가장 낮은 그룹(Q1)보다 전체적인 치매 발병 위험비가 15% 높은 것으로 추산됐다. 또 국내 치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알츠하이머병만 봐도 총콜레스테롤 변동성이 가장 큰 그룹(Q4)에서 변동성이 가장 낮은 그룹(Q1)보다 치매 위험비가 12% 높았다.

콜레스테롤과 치매 발병의 연관성에 대해 알려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미국 연구팀은 '미국의사협회 저널 신경학'(JAMA Neurology) 최신호에서 LDL(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이 과다하면 65세 이전에 '초로기 치매'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SNS 기사보내기